본문 바로가기
300x250

01. 주역(周易)67

44. 천풍구(天風姤) 천풍구(天風姤). 구(姤)는 만남이라는 의미입니다. 천풍구괘는 상괘는 하늘을 상징하는 건괘(乾卦)가 있고, 하괘는 바람을 상징하는 손괘(巽卦)가 있습니다. 하늘 아래에 바람이 불어오는 형상이며, 바람을 통해서 하늘 아래에 있는 세상이 통하고 있는 모습이라고 합니다. 괘사(卦辭) 姤 女壯 勿用取女 구는 여성의 강함이다. 여자를 취하지 말라. 단전(彖傳) 彖曰 姤 遇也 柔遇剛也 勿用取女 不可與長也 天地相遇 品物咸章也 剛遇中正 天下大行也 姤之時義 大矣哉 구는 만남이다. 부드러움이 강함을 만났다. '여자를 취하지 말라'는 의미는 오래 함께할 수 없다는 것이다. 천지가 서로 조우하며 물상이 모두 나타난다. 강함이 중도의 바름을 만났다. 천하가 크게 움직이는 것이다. 구의 때와 의미는 크다. 상전(象傳) 象曰 天下.. 2023. 9. 2.
43. 택천쾌(澤天夬) 택천쾌(澤天夬). 쾌(夬)는 과감하다, 터진다는 의미입니다. 택천쾌괘는 상괘는 연못을 상징하는 태괘(兌卦)가 있고, 하괘는 하늘을 상징하는 건괘(乾卦)가 있습니다. 하늘 위에 연못이 있는 형상입니다. 물이 하늘 이상으로 차올라서 터지는 형상이라고 합니다. 괘사(卦辭) 夬 揚于王庭 孚號有厲 告自邑 不利卽戎 利有攸往 쾌는 왕이 있는 조정에서 드러내고 염려가 있음을 진심으로 호소한다. 스스로 읍에 고한다. 만약 싸움을 준비하는 것은 이롭지 않다. 가는 바가 있으면 이롭다. 단전(彖傳) 彖曰 夬 決也 剛決柔也 健而說 決而和 揚于王庭 柔乘五剛也 孚號有厲 其危乃光也 告自邑不利卽戎 所尙乃窮也 利有攸往 剛長乃終也 쾌괘는 깨끗한 것이다. 강함이 유함을 깨끗이한다. 건강하고 기쁘다. 깨끗이 하는 것이 조화로운 것이다. '.. 2023. 9. 2.
42. 풍뢰익(風雷益) 풍뢰익(風雷益). 익(益)은 더하다 추가하다는 의미입니다. 풍뢰익괘는 상괘는 바람을 상징하는 손괘(巽卦)가 있고, 하괘는 우레를 상징하는 진괘(震卦)가 있습니다. 바람이 우레 위에서 불어오는 것으로 바람이 우레를 한 층 더 강하게 돋아주는 형상입니다. 괘사(卦辭) 益 利有攸往 利涉大川 익은 이롭고 가는 바 있는 것이다. 큰 내를 건너면 이롭다. 단전(彖傳) 彖曰 益 損上益下 民說无彊 自上下下 其道大光 利有攸往 中正有慶 利涉大川 木道乃行 益 動而巽 日進无彊 天施地生 其益无方 凡益之道 與時偕行 익괘는 위를 덜어내어 아래에 더하는 것이다. 백성은 기뻐함이 끝이 없다. 윗사람이 스스로 아랫사람에게 낮추니 이로우며 가는 바 있는 것이고 중도를 지킴에 바르고 경사가 있다. '큰 내를 건너면 이롭다'는 의미는 목도가.. 2023. 9. 2.
41. 산택손(山澤損) 산택손(山澤損). 손(損)은 덜어내다, 손해를 보다는 의미입니다. 산택손괘의 상괴는 산을 상징하는 간괘(艮卦)가 있고 하괘는 연못을 상징하는 태괘(兌卦)가 있습니다. 산 아래에 연못이 있습니다. 산이 머물러 있고, 아래의 연못에서 산을 잘 유지하도록 지원하는 형상이라고 합니다. 괘사(卦辭) 損 有孚 元吉 无咎 可貞 利有攸往 曷之用 二簋可用享 손은 신의가 있는 것이다. 가장 길하고 허물은 없다. 가이 바르다고 할 수 있다. 갈 곳이 있으면 이롭다. 어찌 사용하느냐면 두 개의 그릇으로 제사를 지내는데 사용할 수 있다. 단전(彖傳) 彖曰 損 損下益上 其道上行 損而有孚 元吉无咎 可貞利有攸往 曷之用二簋可用享 二簋應有時 損剛益柔有時 損益盈虛 與時偕行 손괘는 아래를 덜어내어 위에를 더한다는 것이다. 그 도는 위로 향.. 2023. 9. 1.
40. 뇌수해(雷水解) 뇌수해(雷水解). 해(解)는 해결하다, 풀리다는 의미입니다. 뇌수해괘는 상괘는 우레를 상징하는 진괘(震卦)가 있고, 하괘는 물을 상징하는 감괘(坎卦)가 있습니다. 물 위에 우레가 치고 있습니다. 우레는 움직임이고 물은 위험함이기에 위험에서 벗어나는 형상이라고 봅니다. 괘사(卦辭) 解 利西南 无所往 其來復 吉 有攸往 夙 吉 해는 서남이 이롭다. 갈 필요가 없으며 돌아오면 회복하니 길하다. 갈 바가 있다면 일찍하여야 길하다. 단전(彖傳) 彖曰 解險以動 動而免乎險 解 解利西南 往得衆也 其來復吉 乃得中也 有攸往夙吉 往有功也 天地解而雷雨作 雷雨作而百果草木皆甲拆 解之時 大矣哉 해괘는 험난한 곳에서 움직이는 것이며 움직여서 위험을 면하는 것이 해괘이다. 해괘가 서남쪽이 이로운 까닭은 가서 무리를 얻기 때문이다. 돌아.. 2023. 8. 31.
39. 수산건(水山蹇) 수산건(水山蹇). 건(蹇)은 고난, 순탄치 않음을 의미합니다. 수산건괘는 상괘는 물을 상징하는 감괘(坎卦)가 있고, 하괘는 산을 상징하는 간괘(艮卦)가 있습니다. 산 위에 물이 있는 모습이며 감괘의 험함과 간괘의 멈춤이 함께하여 위험 앞에서 어찌할 바를 모르는 형상입니다. 괘사(卦辭) 蹇 利西南 不利東北 利見大人 貞 吉 건은 서남쪽이 이롭다. 동북쪽은 불리하다. 대인을 보는 것이 이롭고 바르며 길하다. 단전(彖傳) 彖曰 蹇 難也 險在前也 見險而能止 知矣哉 蹇利西南 往得中也 不利東北 其道窮也 利見大人 往有功也 當位貞吉 以正邦也 蹇之時用 大矣哉 건괘는 위험한 것이다. 앞에는 험한 것이 있어서 험함을 보고 멈추어 설 수 있으니 지혜롭다. 건괘는 서남쪽에서 이익이 되는 까닭은 움직이면 중도를 얻기 때문이다. 동.. 2023. 8. 31.
38. 화택규(火澤睽) 화택규(火澤睽). 규(睽)는 맞지 않다. 어긋난다는 의미입니다. 화택규괘는 상괘는 불을 상징하는 상징하는 이괘(離卦)가 있고, 하괘는 연못을 상징하는 태괘(兌卦)가 있습니다. 연못 위에 불이 타오르는 형상입니다. 괘사(卦辭) 睽 小事 吉 규는 작은 일은 길하다. 단전(彖傳) 彖曰 睽火動而上 澤動而下 二女同居 其志不同行 說而麗乎明 柔進而上行 得中而應乎剛 是以小事吉 天地睽而其事同也 男女睽而其志通也 萬物睽而其事類也 睽之時用 大矣哉 규괘는 불이 가운데 위에서 움직이고 연못이 아래에서 움직이는 것이다. 두 여자가 함께 거처하나 그 뜻은 같지 않은 것이다. 밝음에 기뻐하며 연결되는 것이다. 부드러움이 위로 향해서 나아가다가 중도를 얻어 강함에 호응하기에 작은 일은 길하다는 것이다. 하늘과 땅이 어긋나지만 그 일은 .. 2023. 8. 30.
37. 풍화가인(風火家人) 풍화가인(風火家人). 가인(家人)은 가정 그 자체, 집안의 도리 등을 의미합니다. 풍화가인괘는 상괘는 바람을 상징하는 손괘(巽卦)가 있고, 하괘는 불을 상징하는 이괘(離卦)가 있습니다. 바람 아래 불이 타오르는 형상입니다. 불이 바람과 더불어서 더욱 타오르는 형상입니다. 괘사(卦辭) 家人 利女貞 가인은 이롭다. 여자가 올바른 것이다. 단전(彖傳) 彖曰 家人 女正位乎內 男正位乎外 男女正 天地之大義也 家人有嚴君焉 父母之謂也 父父子子兄兄弟弟夫夫婦婦而家道正 正家而天下定矣 가인괘는 여자가 안에서 바른 위치를 잡고 있고 남자가 밖에서 바른 위치를 잡고 있으니 남녀 모두 바르다. 천지의 큰 뜻과 같다. 가정은 엄격한 군자가 있어야 하는데 부모를 이른다. 아버지는 아버지답게 자녀는 자녀답게 형은 형답게 아우는 아우답게.. 2023. 8. 29.
36. 지화명이(地火明夷) 지화명이(地火明夷). 명이(明夷)는 밝음이 평온해진다는 의미입니다. 지화명이괘는 상괘에는 땅을 상징하는 곤괘(坤卦)가 있고, 하괘에는 불을 상징하는 이괘(離卦)가 있습니다. 땅 아래에 불이 있는 형상입니다. 태양이 땅 아래로 지는 모습으로 보기도 합니다. 괘사(卦辭) 明夷 利艱貞 명이는 고달프지만 바르게 하는 것이 이롭다. 단전(彖傳) 彖曰 明入地中 明夷 內文明而外柔順 以蒙大難 文王以之 利艱貞 晦其明也 內難而能正其志 箕子以之 밝음이 땅 가운데로 들어가는 것이 명이괘이다. 안에서는 글이 빛을 발하고 밖에서는 부드러움이 순하다. 이로 추측컨대 큰 어려움이 있으니 (주나라) 문왕의 그것이다.* '고달프지만 바르게 하는 것이 이롭다'는 의미는 그 밝음을 숨기는 것이다. (밝음이) 안에 있어 어려우나 능히 그 뜻.. 2023. 8. 28.
35. 화지진(火地晉) 화지진(火地晉). 진(晉)은 나아가다, 오른다는 의미입니다. 화지진괘는 상괘에 불을 상징하는 이괘(離卦)가 있고, 하괘에 땅을 상징하는 곤괘(坤卦)가 있습니다. 땅 위에 불이 솟구치는 형상입니다. 해가 땅 위로 나오는 일출의 형상으로 보기도 합니다. 괘사(卦辭) 晉 康侯 用錫馬蕃庶 晝日三接 진은 풍족한 제후이다. 말을 하사하기를 여러번 하고 하루에 세 번 접견한다. 단전(彖傳) 彖曰 晉 進也 明出地上 順而麗乎大明 柔進而上行 是以康侯用錫馬蕃庶晝日三接也 진괘는 나아가는 것이다. 밝은 것이 땅 위로 올라가고 있다. 순하면서도 아름답고 밝게 빛나는 것이다. 부드러움이 위로 나악는 것이라 '풍족한 제후이다. 말을 하사하기를 여러번 하고 하루에 세 번 접견한다'고 하였다. 상전(象傳) 象曰 明出地上 晉 君子以 自昭.. 2023. 8. 28.
34. 뇌천대장(雷天大壯) 뇌천대장(雷天大壯). 대장(大壯)은 우두머리, 수령 등을 의미합니다. 뇌천대장괘는 상괘는 우레를 상징하는 진괘(震卦)가 있고, 하괘는 하늘을 상징하는 건괘(乾卦)가 있습니다. 하늘 위에 번개가 치고 있는 형상입니다. 번개가 하늘 위에서 왕성하게 활동하는 형상입니다. 괘사(卦辭) 大壯 利貞 대장은 이롭고 바르다. 단전(彖傳) 彖曰 大壯 大者壯也 剛以動故壯 大壯利貞 大者正也 正大而天地之情可見矣 대장괘는 큰 것이 왕성함이다. 강함으로써 움직이는 것을 대장이라 한다. '대장은 바르고 이롭다'는 의미는 바르고 큰 것이라 하늘과 땅의 정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상전(象傳) 象曰 雷在天上 大壯 君子以 非禮不履 번개가 하늘 위에 있으니 대장괘이다. 군자는 이로써 예가 아니면 행하지 않는다. 효사(爻辭) 및 상전(象傳.. 2023. 8. 27.
33. 천산둔(天山遯) 천산둔(天山遯). 둔(遯)은 도망치다, 회피하다, 물러난다는 의미입니다. 천산둔괘는 상괘에는 하늘을 의미하는 건괘(乾卦)가 있고 하괘에는 산을 의미하는 간괘(艮卦)가 있습니다. 산 위에 하늘이 있는 형상입니다. 산이 높에 오르려고 하여 하늘과 닿으려 하나, 하늘 역시 더 위로 올라가는 기운으로 피하는 모습입니다. 괘사(卦辭) 遯 亨 小利 貞 둔은 형통하다. 조금 이익이다. 바르다. 단전(彖傳) 彖曰 遯亨 遯而亨也 剛當位而應 與時行也 小利貞 浸而長也 遯之時義 大矣哉 둔괘는 형통하다. 도망가는 것이나 형통하다. 강함이 제 위치에서 응함이 있고 함께 때맞추어 움직일 수 있다. '조금 이익이다. 바르다'는 의미는 (음이) 침범하여 자라기 때문이다. 피하는 때와 의가 크다. 상전(象傳) 象曰 天下有山 遯 君子以 .. 2023. 8. 27.
32. 뇌풍항(雷風恒) 뇌풍항(雷風恒). 항(恒)은 영구하다, 항상심을 의미합니다. 뇌풍항괘는 상괘는 우레를 상징하는 진괘(震卦)가 있고 하괘는 바람을 상징하는 손괘(巽卦)가 있습니다. 바람부는데 위에 우레가 치고 있습니다. 진괘는 중년의 남자이며 손괘는 중년의 여자를 상징하기에 부부가 함께 있는 형상이라고도 봅니다. 괘사(卦辭) 恒 亨 无咎 利貞 利有攸往 항은 형통하고 허물이 없다. 이롭고 바르다. 갈 곳이 있으면 이롭다. 단전(彖傳) 彖曰 恒 久也 剛上而柔下 雷風相與 巽而動 剛柔皆應 恒 恒亨无咎利貞 久於其道也 天地之道 恒久而不已也 利有攸往 終則有始也 日月得天 而能久照 四時變化 而能久成 聖人久於其道 而天下化成 觀其所恒 而天地萬物之情可見矣 항괘는 오래 지속되는 것이다. 강함이 위에 있고 부드러움이 아래에 있다. 우레와 바람이 .. 2023. 8. 26.
31. 택산함(澤山咸) 택산함(澤山咸). 함(咸)은 감응하다는 의미입니다. 택산함괘는 상괘는 연못을 의미하는 태괘(兌卦)가 있고 하괘는 산을 의미하는 간괘(艮卦)가 있습니다. 산 위에 못이 있는 형상입니다. 또는 태괘는 젊은 여성을 의미하고 간괘는 젊은 남성을 의미하여 둘의 교감을 의미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괘사(卦辭) 咸 亨 利貞 取女 吉 함은 형통하다. 이롭고 바르다. 여자를 취한다. 길하다. 단전(彖傳) 彖曰 咸 感也 柔上而剛下 二氣感應以相與 止而說 男下女 是以亨利貞取女吉也 天地感 而萬物化生 聖人感人心 而天下和平 觀其所感 而天地萬物之情 可見矣 함괘는 감응한다는 것이다. 유한 것이 위에 있고 강한 것은 아래에 있다. 두 가지가 서로 감응하여 함께하고 멈추며 기뻐한다. 남자가 여자의 아래에 있으니 형통하고 이롭고 바름으로써 .. 2023. 8. 26.
30. 중화리(重火離) 중화리(重火離). 리(離)는 떨어지다, 부착하다의 의미를 지닙니다. 중화리괘는 불을 상징하는 불을 상징하는 이괘(離卦)가 두 개 겹쳐있는 형상입니다. 불이 붙어 있어서 밝음을 상징하거나 두 개의 불, 태양과 달이 붙어있는 모습으로 보기도 합니다. 괘사(卦辭) 離 利貞 亨 畜牝牛 吉 리는 이롭고 바르며 형통한 것이다. 암소를 기르는 것이다. 길하다. 단전(彖傳) 彖曰 離 麗也 日月麗乎天 百穀草木 麗乎土 重明 以麗乎正 乃化成天下 柔麗乎中正 故亨 是以畜牝牛吉也 리괘는 붙는 것이다. 해와 달이 하늘에 붙어 있고 백곡과 초목은 땅에 붙어 있는 것이다. 거듭 밝음으로 아름다움으로써 바르다. 이에 교화하고 천하를 이룸이 있다. 부드러움이 중앙에 붙어 있어 바르고 형통하다. 이로써 암소를 기르는 것이 길한 것이다. 상.. 2023. 8. 25.
29. 중수감(重水坎) 중수감(重水坎). 감(坎)은 구덩이 또는 빠지다는 의미입니다. 중수감괘는 물을 의미하는 감괘(坎卦)가 두 개 겹쳐있습니다. 물이 겹쳐져 있고 위기가 겹쳐져 있는 형상입니다. 괘사(卦辭) 習坎 有孚 維心亨 行有尙 감은 진실함이 있고 오직 그 마음을 좇으면 형통하다. 행동에 숭고함이 있다. 단전(彖傳) 彖曰 習坎 重險也 水流而不盈 行險而不失其信 維心亨 乃以剛中也 行有尙 往有功也 天險 不可升也 地險 山川丘陵也 王公 設險 以守其國 險之時用 大矣哉 감괘는 험한 것이 중첩된 것이다. 물이 흐르나 차지 않았다. 나아가도 그 진실함을 잃지 않는다. 그 마음이 형통한 것이니 강함으로 중도를 지킨다. 행함은 숭고함이고 가는 것에 공이 있다. 하늘의 험함은 오를 수 없는 것이고, 땅의 험함은 산천과 구릉과 같은 것이다. 왕.. 2023. 8. 24.
28. 택풍대과(澤風大過) 택풍대과(澤風大過). 대과(大過)는 크게 넘치다는 의미입니다. 택풍대과괘의 상괘는 연못을 의미하는 태괘(兌卦)가 있고, 하괘는 바람을 의미하는 손괘(巽卦)가 있습니다. 연못 아래로 바람이 세차게 불어오는 형상입니다. 혹은 손괘는 나무(木)를 상징하기 때문에 나무가 못 아래 잠겨있는 것으로 보기도 합니다. 괘사(卦辭) 大過 棟橈 利有攸往 亨 대과는 마룻대가 휜 것이다. 갈 곳이 있다면 이롭다. 형통하다. 단전(彖傳) 彖曰 大過 大者過也 棟橈 本末弱也 剛過而中 巽而說行 利有攸往 乃亨 大過之時 大矣哉 대과괘는 큰 것이 지나친 것이다. '마룻대가 휘었다'는 의미는 근본과 말단이 약하다는 것이다. 강함이 지나치지만 중도가 있다. 겸손함과 기쁨으로 간다면 갈 곳이 있어 이롭고 이에 형통하다. 대과괘의 때는 큰 때이.. 2023. 8. 23.
27. 산뢰이(山雷頤) 산뢰이(山雷頤). 이(頤)는 턱, 기르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산뢰이괘의 상괘는 산을 의미하는 간괘(艮卦)가 있고, 하괘는 우레를 상징하는 진괘(震卦)가 있습니다. 산 아래서 우뢰가 치고 있는 형상입니다. 괘사(卦辭) 頤 貞 吉 觀頤 自求口實 이는 바르고 길하다. 턱을 보는 것이다. 스스로 먹고 채울 것을 구하고 있는 것이다. 단전(彖傳) 彖曰 頤貞吉 養正則吉也 觀頤 觀其所養也 自求口實 觀其自養也 天地養萬物 聖人養賢 以及萬民 頤之時 大矣哉 '이가 바르고 길하다'는 것은 바름을 기르기 때문에 길하다고 한 것이다. '턱을 본다'는 의미는 그 기를 바를 보는 것이다. '스스로 먹고 채울 것을 구한다'는 것은 스스로 기를 것을 찾는다는 것이다. 천지가 만물을 길러낸다. 성인은 현인을 길러내고 만민에게 돌려준다. .. 2023. 8. 22.
26. 산천대축(山天大畜) 산천대축(山天大畜). 대축(大畜)은 크게 모은다 또는 크게 기른다는 의미입니다. 산천대축괘는 상괘는 산을 상징하는 간괘(艮卦)가 있고 하괘는 하늘을 상징하는 건괘(乾卦)가 있습니다. 산이 하늘 위로 높이 솟아오른 형상이며 하늘이 위로 솟으려는 것을 산이 가로막고 있다고도 합니다. 괘사(卦辭) 大畜 利貞 不家食 吉 利涉大川 대축은 이롭고 바르다. 집에서 밥을 먹지 않아도 길하다. 큰 내를 건너는 것이 이롭다. 단전(彖傳) 彖曰 大畜 剛健 篤實 輝光 日新其德 剛上而尙賢 能止健 大正也 不家食吉養賢也 利涉大川 應乎天也 대축괘는 강하고 건강하다. 독실하면서도 빛을 발한다. 그 덕이 날로 새롭다. 강함이 위에 있어 현인을 숭상하고 능히 건강함을 지키고 크게 바르다. '집에서 밥을 먹지 않아도 길하다'는 의미는 현인.. 2023. 8. 21.
25. 천뢰무망(天雷无妄) 천뢰무망(天雷无妄). 무망(无妄)은 어지러움이 없음 또는 거짓이 없음을 뜻한다. 천뢰무망괘는 상괘는 하늘을 상징하는 건괘(乾卦)가 있고 하괘는 우레를 상징하는 진괘(震卦)가 있습니다. 하늘 아래서 우뢰가 치고 있는 형상입니다. 괘사(卦辭) 无妄 元亨 利貞 其匪正 有眚 不利有攸往 무망은 매우 형통하고 이롭고 바르다. 그것이 올바르지 않다면 재앙이 있다. 갈 곳이 있다면 불리하다. 단전(彖傳) 彖曰 无妄 剛自外來而爲主於內 動而健 剛中而應 大亨以正 天之命也 其匪正有眚不利有攸往 无妄之往 何之矣 天命不祐 行矣哉 무망괘는 강함이 바깥에 오며 안에서 주인이 되는 것이다. 움직이고 강한 것이다. 강한 중에 중도의 호응이 있는 것이다. 올바름으로써 매우 형통함이 하늘의 명이다. '것이 올바르지 않다면 재앙이 있다. 갈 .. 2023. 8.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