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산건(水山蹇). 건(蹇)은 고난, 순탄치 않음을 의미합니다. 수산건괘는 상괘는 물을 상징하는 감괘(坎卦)가 있고, 하괘는 산을 상징하는 간괘(艮卦)가 있습니다. 산 위에 물이 있는 모습이며 감괘의 험함과 간괘의 멈춤이 함께하여 위험 앞에서 어찌할 바를 모르는 형상입니다. |
괘사(卦辭)
蹇 利西南 不利東北 利見大人 貞 吉
건은 서남쪽이 이롭다. 동북쪽은 불리하다. 대인을 보는 것이 이롭고 바르며 길하다.
단전(彖傳)
彖曰 蹇 難也 險在前也 見險而能止 知矣哉 蹇利西南 往得中也 不利東北 其道窮也 利見大人 往有功也 當位貞吉 以正邦也 蹇之時用 大矣哉
건괘는 위험한 것이다. 앞에는 험한 것이 있어서 험함을 보고 멈추어 설 수 있으니 지혜롭다. 건괘는 서남쪽에서 이익이 되는 까닭은 움직이면 중도를 얻기 때문이다. 동북쪽에서 불리한 까닭은 그 도가 다하기 때문이다. '대인을 보는 것이 이롭다'는 의미는 가는 곳에 공이 있다는 것이다. 당연한 위치를 차지하여 바르고 길하다. 나라를 바로잡음으로써 건괘는 시대에 쓰이는 것이 크다.
상전(象傳)
象曰 山上有水 蹇 君子以 反身脩德
산 위에 물이 있는 것이 건괘이다. 군자는 이로써 나를 돌아보고 덕을 닦는다.
효사(爻辭) 및 상전(象傳)
初六 往蹇 來譽
초육은 가면 곤란하고 오면 영예롭다.
象曰 往蹇來譽 宜待也
'가면 곤란하고 오면 영예롭다'는 의미는 마땅히 기다린다는 것이다.
六二 王臣蹇蹇 匪躬之故
육이는 왕과 신하가 고난에 빠지니 자신으로 인하여 생긴 것이 아니다.
象曰 王臣蹇蹇 終无尤也
'왕과 신하가 고난에 빠지다'는 의미는 잘못없이 마친다는 것이다.
九三 往蹇 來反
구삼은 가면 곤란하여 돌아온다.
象曰 往蹇來反 內喜之也
'가면 곤란하여 돌아온다'는 의미는 안에 기쁨이 있다는 것이다.
六四 往蹇 來連
육사는 가면 곤란하여 와서 연대한다.
象曰 往蹇來連 當位實也
'가면 곤란하여 와서 연대한다'는 의미는 담당한 위치가 진실되다는 것이다.
九五 大蹇 朋來
구오는 매우 곤란한데 친구가 온다.
象曰 大蹇朋來 以中節也
'매우 곤란한데 친구가 온다'는 의미는 중도로써 절제한다는 것이다.
上六 往蹇 來碩吉 利見大人
상육은 가면 곤란하고 오면 머리가 크다. 길하다. 대인을 보니 이롭다.
象曰 往蹇來碩 志在內也 利見大人 以從貴也
'가면 곤란하고 오면 머리가 크다'는 의미는 뜻이 안에 있다는 것이다. '대인을 보니 이롭다'는 의미는 순종하여 귀해진다는 것이다.
'01. 주역(周易)' 카테고리의 다른 글
41. 산택손(山澤損) (0) | 2023.09.01 |
---|---|
40. 뇌수해(雷水解) (0) | 2023.08.31 |
38. 화택규(火澤睽) (0) | 2023.08.30 |
37. 풍화가인(風火家人) (0) | 2023.08.29 |
36. 지화명이(地火明夷) (0) | 2023.08.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