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00x250

주역67

64. 화수미제(火水未濟) 화수미제(火水未濟). 미제(未濟)는 해결이 되지 아니하였다는 것이다. 화수미제괘는 상괘에는 불을 상징하는 이괘(離卦)가 있고 하괘에는 물을 상징하는 감괘(坎卦)가 있습니다. 불이 물 위에 놓여져 있어서 아직 서로 감응하지 않은 상태 또는 해결이 되지 않은 상태를 형상합니다. 괘사(卦辭) 未濟 亨 小狐汔濟 濡其尾 无攸利 미제는 형통하다. 어린 여우가 용감히 물을 건너간다. 그 꼬리를 적신다. 이롭지 않다. 단전(彖傳) 彖曰 未濟亨 柔得中也 小狐汔濟 未出中也 濡其尾无攸利 不續終也 雖不當位 剛柔應也 미제괘의 형통함은 유함이 중도를 얻어서이다. '어린 여우가 용감히 물을 건너간다'는 의미는 나가지 못한 중이라는 것이다. '그 꼬리를 적신다. 이롭지 않다'는 의미는 계속 마치지 못한 상태라는 것이다. 비록 위치는.. 2023. 9. 16.
63. 수화기제(水火旣濟) 수화기제(水火旣濟). 기제(旣濟)는 이미 건너다, 이미 해결하였다는 의미입니다. 수화기제의 상효는 물을 상징하는 감괘(坎卦)가 있고 하괘는 불을 상징하는 이괘(離卦)가 있습니다. 물은 아래로 흐르는 것이고 불은 위로 타오르니 서로 교류하여 작용하고 그로 인하여 해결되었다는 형상입니다. 괘사(卦辭) 旣濟 亨小 利貞 初吉 終亂 기제는 형통함이 작다. 이롭고 바르다. 처음은 길하나 마지막은 혼란하다. 단전(彖傳) 彖曰 旣濟 亨 小者 亨也 利貞 剛柔正而位當也 初吉 柔得中也 終止則亂 其道窮也 기제괘의 형통함은 작은데 있다. 상전(象傳) 象曰 水在火上 旣濟 君子以 思患而豫防之 물이 불 위에 있는 것이 기제괘이다. 군자는 이로써 우환을 생각하고 미리 방비한다. 효사(爻辭) 및 상전(象傳) 初九 曳其輪 濡其尾 无咎 초.. 2023. 9. 16.
62. 뇌산소과(雷山小過) 뇌산소과(雷山小過). 소과(小過)는 조금 넘친다는 의미입니다. 뇌산소과괘는 상괘에는 우레를 상징하는 진괘(震卦)가 있고 하괘에는 산을 상징하는 간괘(艮卦)가 있습니다. 우레가 높은 산 위에서 내려치며 소리가 과하게 나는 형상입니다. 괘사(卦辭) 小過 亨 利貞 可小事 不可大事 飛鳥遺之音 不宜上 宜下大吉 소과는 형통하다. 이롭고 바르다. 작은 일은 가능하다. 큰 일은 불가하다. 새가 날다가 소리를 남긴다. 위로 향하는 것 마땅치 않고 아래로 향한다면 크게 길하다. 단전(彖傳) 彖曰 小過 小者過而亨也 過以利貞 與時行也 柔得中 是以小事吉也 剛失位而不中 是以不可大事也 有飛鳥之象焉 飛鳥遺之音 不宜上 宜下大吉 上逆而下順也 소과괘는 작은 것이 지나치나 형통하다. 과하기에 이롭고 바르다. 때에 맞추어 행한다. 부드러움이.. 2023. 9. 15.
61. 풍택중부(風澤中孚) 풍택중부(風澤中孚). 중부(中孚)는 가득한 믿음, 중도의 믿음을 의미합니다. 풍택중부괘는 상괘에는 바람을 상징하는 손괘(巽卦)가 있고 하괘에는 연못을 상징하는 태괘(兌卦)가 있습니다. 연못 위에 바람이 불어오는 형상으로 기쁨이 퍼지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괘사(卦辭) 中孚 豚魚吉 利涉大川 利貞 중부는 돼지와 물고기의 길함이다. 큰 내를 건너면 이롭다. 이롭고 바르다. 단전(彖傳) 彖曰 中孚 柔在內而剛得中 說而巽 孚乃化邦也 豚魚吉 信及豚魚也 利涉大川 乘木舟虛也 中孚 以利貞 乃應乎天也 중부괘는 유함이 안에 있으면서 중도를 얻었다. 기쁘면서도 겸손하다. 믿음으로 나라를 교화한다. '돼지와 물고기의 길함'이라는 의미는 믿음이 돼지나 물고기까지 미친다는 것이다. 큰 내를 건너면 이로운 까닭은 나무배를 타려는데.. 2023. 9. 14.
60. 수택절(水澤節) 수택절(水澤節). 절(節)은 절제, 절개, 예절을 의미합니다. 수택절괘는 상괘에는 물을 상징하는 감괘(坎卦)가 있고 하괘에는 연못을 상징하는 태괘(兌卦)가 있습니다. 연못 위에 물이 가득 채워진 형상입니다. 괘사(卦辭)節 亨 苦節 不可貞 절은 형통하다. 괴롭게 절제한다. 바를 수 없다. 단전(彖傳)彖曰 節亨 剛柔分而剛得中 苦節不可貞 其道窮也 說以行險 當位而節 中正以通 天地節而四時成 節以制度 不傷財 不害民 절괘가 형통한 까닭은 강함과 유함이 나뉘어져 강함이 중도를 얻었기 때문이다. 괴롭게 절제하나 바를 수 없는 까닭은 도가 다하였기 때문이다. 험함을 행하는 데 기쁘다. 당연한 위치이기에 절제하여야 하고 중도의 바름으로써 통한다. 천지의 절제로 사계절이 이루어진다. 제도를 통해 절제하는 것은 재물을 상하게 .. 2023. 9. 13.
59. 풍수환(風水渙) 풍수환(風水渙). 환(渙)은 흩어지다, 풀린다는 의미입니다. 풍수환괘는 상괘에는 바람을 상징하는 손괘(巽卦)가 있고 하괘에는 물을 상징하는 감괘(坎卦)가 있습니다. 물 위에 바람이 불어오며 물줄기가 흩어지는 형상입니다. 괘사(卦辭) 渙 亨 王假有廟 利涉大川 利貞 환은 형통하다. 왕이 지극하여 사당을 둔다. 큰 내를 건너면 이롭다. 이롭고 바르다. 단전(彖傳) 彖曰 渙亨 剛來而不窮 柔得位乎外而上同 王假有廟 王乃在中也 利涉大川 乘木有功也 '환괘는 형통하다'는 의미는 강함이 오고 궁하지 않고 유함은 밖에서 자리를 얻어 위와 동화한다는 것이다. '왕이 지극하여 사당을 둔다'는 의미는 왕이 마침내 중도를 얻는다는 것이다. '큰 내를 건너면 이롭다'는 의미는 나무를 타는 것에 공이 있다는 것이다. 상전(象傳) 象曰.. 2023. 9. 12.
58. 중택태(重澤兌) 중택태(重澤兌). 태(兌)는 기쁘다, 바꾼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중택태괘는 연못을 상징하는 태괘(兌卦)가 겹쳐서 있습니다. 연못이 서로 겹쳐서 거대하고 사람들이 모여 생활할 수 있어서 기뻐합니다. 괘사(卦辭) 兌 亨 利貞 태는 형통하다. 이롭고 바르다. 단전(彖傳) 彖曰 兌 說也 剛中而柔外 說以利貞 是以順乎天而應乎人 說以先民 民忘其勞 說以犯難 民忘其死 說之大 民勸矣哉 태괘는 기쁜 것이다. 강한 중에 유함이 밖에 있다. 이롭고 바르기에 기쁘다. 하늘에 순종함으로써 사람에게 응한다. 백성들을 선도하여 기쁘고 백성은 그 수고로움을 잊는다. 어려운 일을 범하여도 기쁘고 백성은 그 죽음도 잊는다. 기쁨이 크고 백성이 근면하다. 상전(象傳) 象曰 麗澤兌 君子以 朋友講習 짝을 지은 연못이 태괘이다. 군자는 이로써 친.. 2023. 9. 11.
57. 중풍손(重風巽) 중풍손(重風巽). 손(巽)은 겸손하다, 공손하다는 의미입니다. 중풍손괘는 바람을 상징하는 손괘(巽卦)가 겹쳐서 있습니다. 바람같이 흐르는 형상입니다. 괘사(卦辭) 巽 小亨 利有攸往 利見大人 손괘는 조금 형통하다. 갈 곳이 있으면 이롭다. 대인을 보는 것이 이롭다. 단전(彖傳) 彖曰 重巽以申命 剛巽乎中正而志行 柔皆順乎剛 是以小亨 利有攸往 利見大人 중손괘는 거듭되게 명령한다. 중도의 바름으로써 강하고 공손하게 뜻을 행한다. 유한 것은 모두 강한 것에 순종하니 조금 형통하고 갈 곳이 있으면 이로우며 대인을 보는 것이 이로운 것이다. 상전(象傳) 象曰 隨風巽 君子以 申命行事 바람을 추종하는 것이 손괘이다. 군자는 이로써 거듭 명하고 일을 행한다. 효사(爻辭) 및 상전(象傳) 初六 進退 利武人之貞 초육은 나아가다.. 2023. 9. 10.
56. 화산려(火山旅) 화산려(火山旅). 려(旅)는 나그네, 여행한다는 의미입니다. 화산려괘의 상괘에는 불을 상징하는 이괘(離卦)가 있고 하괘에는 산을 상징하는 간괘(艮卦)가 있습니다. 산 위에 불이 붙어서 이리저리 불이 다니는 형상입니다. 괘사(卦辭) 旅 小亨 旅貞 吉 여는 조금 형통하다. 바르게 여행하면 길하다. 단전(彖傳) 彖曰 旅小亨 柔得中乎外而順乎剛 止而麗乎明 是以小亨旅貞吉也 旅之時義 大矣哉 여괘가 조금 형통한 까닭은 유함이 바깥에서 중도를 얻었으나 강함에 순종하기 떄문이다. 아름다운 곳에서 멈추어 밝은 것이라 조금 형통하고 바르게 여행하면 길한 것이다. 여힁의 때와 의는 크다. 상전(象傳) 象曰 山上有火 旅 君子以 明愼用刑 而不留獄 산 위에 불이 있는 것이 여괘이다. 군자는 이로써 형벌을 쓰는데 명확하고 신중하게 하.. 2023. 9. 10.
55. 뇌화풍(雷火豊) 뇌화풍(雷火豊). 풍(豊)은 풍요롭다, 가득차다는 의미입니다. 뇌화풍괘는 상괘는 우레를 상징하는 진괘(震卦)가 있고 하괘는 불을 상징하는 이괘(離卦)가 있습니다. 우레 아래에서 번개가 이른 것 또는 움직임 아래에 지혜로움이 의미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괘사(卦辭) 豊 亨 王假之 勿憂 宜日中 풍은 형통하다. 왕이 잠시 이르렀다. 근심이 없다. 마땅이 해가 가운데 뜬 것 같다. 단전(彖傳) 彖曰 豊 大也 明以動 故豊 王假之 尙大也 勿憂宜日中 宜照天下也 日中則昃 日盈則食 天地盈虛 與時消息 而况於人乎 况於鬼神乎 풍괘는 크다. 움직임으로써 밝아지니 풍괘이다. 왕이 잠시 이르른 까닭은 큰 것을 숭상하는 데 있다. '근심이 없다. 마땅이 해가 가운데 뜬 것 같다'는 의미는 마땅히 천하를 비춘다는 것이다. 해는 중천에 .. 2023. 9. 10.
54. 뇌택귀매(雷澤歸妹) 뇌택귀매(雷澤歸妹). 귀매(歸妹)는 시집가다는 의미입니다. 뇌택귀매괘는 상괘에 우레를 상징하는 진괘(震卦)가 있고 하괘에 연못을 상징하는 태괘(兌卦)가 있습니다. 연못 위에 우레가 치는 모습이며 젊은 여자를 상징하는 태괘가 남자를 상징하는 진괘에 붙어 시집간다고 해석하기도 합니다. 괘사(卦辭) 歸妹 征 凶 无攸利 귀매는 정벌하러가는데 흉하다. 이로운 바 없다. 단전(彖傳) 彖曰 歸妹 天地之大義也 天地不交 而萬物不興 歸妹 人之終始也 說以動 所歸 妹也 征凶 位不當也 无攸利 柔乘剛也 귀매괘는 하늘과 땅이 크게 의롭다. 천지가 교류하지 아니나고 만물이 함께하지 않는 것이 귀매이다. 인간의 처음과 끝이다. 기뻐하며 움직이는 것은 시집을 가는 것이며 소녀이다. 정벌하면 흉한 까닭은 위치가 적당하지 않아서이다. 이로.. 2023. 9. 9.
53. 풍산점(風山漸) 풍산점(風山漸). 점(漸) 점진적으로, 나아가다는 의미입니다. 풍산점괘는 상괘에는 바람을 의미하는 손괘(巽卦)가 있고 하괘에는 산을 의미하는 간괘(艮卦)가 있습니다. 산 위에 바람이 부는 형상 또는 나무(손괘巽卦의 상징)가 산을 기반으로 하여 자라난 형상을 의미합니다. 괘사(卦辭) 漸 女歸 吉 利貞 점은 여자가 시집가는 것이다. 길하다. 이롭고 바르다. 단전(彖傳) 彖曰 漸之進也 女歸 吉也 進得位 往有功也 進以正 可以正邦也 其位剛得中也 止而巽 動不窮也 점괘의 나아감은 여자가 시집가는 것과 같이 길하다. 진출하면 지위를 얻으니 나아감에 공이 있다. 바름으로써 진출하니 가이 나라를 바로잡을 수 있다. 그 지위에서 강함이 중도를 얻었다. 멈추어 있음에 부드럽고 움직임에 중단이 없다. 상전(象傳) 象曰 山上有木.. 2023. 9. 9.
52. 중산간(重山艮) 중산간(重山艮). 간(艮)은 그치다, 머무르다는 의미입니다. 중산간괘는 산을 상징하는 간괘(艮卦)가 겹쳐있습니다. 멈추어 있는 형상입니다. 괘사(卦辭) 艮 其背 不獲其身 行其庭 不見其人 无咎 간은 이미 등진 것이다. 그 신체를 얻지 못한다. 그 뜰에 가나 그 사람을 보지 못한다. 허물은 없다. 단전(彖傳) 彖曰 艮 止也 時止則止 時行則行 動靜不失其時 其道光明 艮其背 止其所也 上下敵應 不相與也 是以 不獲其身行其庭不見其人无咎也 간은 그치는 것이다. 멈추어야 할 때에 멈추고 가야할 때에 간다. 움직임과 고요함이 그 때를 잃지 않는다. '간은 이미 등진 것이다'라는 의미는 이미 하던 바를 멈춘다는 것이다. 윗사람과 아랫사람이 적대하여 호응하며 함께 하지는 않는다. 이 때문에 그 신체를 얻지 못하고 뜰에가도 사람.. 2023. 9. 8.
51. 중뢰진(重雷震) 중뢰진(重雷震). 진(震)은 우레, 위세의 의미입니다. 중뢰진괘는 우레를 상징하는 진괘(震卦)가 겹쳐 있습니다. 진괘는 장남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괘사(卦辭) 震 亨 震來虩虩 笑言啞啞 震驚百里 不喪匕鬯 진은 형통하다. 우레가 오면 두려워한다. 웃고 말함이 벙어리*처럼 된다. 우레는 백리를 놀라게 한다. 숟가락과 울창주**를 잃어버리지 않는다. 단전(彖傳) 彖曰 震亨 震來虩虩 恐致福也 笑言啞啞 後有則也 震驚百里 驚遠而懼邇也 出可以守宗廟社稷 以爲祭主也 진괘는 형통하다. '우레가 오면 두려워한다.'는 의미는 두려워하는 것에 복이 있다는 것이다. '웃고 말함이 벙어리처럼 된다'는 의미는 후에는 규칙이 있다는 것이다. '우레가 백리를 놀라게 한다'는 의미는 멀리있는 자를 놀라게 하고 가까이 있는 자를 두렵게 한다.. 2023. 9. 7.
50. 화풍정(火風鼎) 화풍정(火風鼎). 정(鼎)은 솥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화풍정괘는 상괘는 불을 상징하는 상징하는 이괘(離卦)가 있고 하괘는 바람을 상징하는 손괘(巽卦)가 있습니다. 손괘는 나무를 상징하는 바 위에 불이 일고 있는데 아래에 나무를 때고 있는 것이 솥의 형상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괘사(卦辭) 鼎 元亨 정은 매우 형통하다. 단전(彖傳) 彖曰 鼎 象也 以木巽火 亨飪也 聖人亨以亨上帝 而大亨 以養聖賢 巽而耳目聰明 柔進而上行 得中應乎剛 是以元亨 정괘는 형상이 있다. 손괘가 나무로써 불을 태우니 음식을 익히는데 익숙하다. 성인은 삶은 음식으로 상제에게 제사올리니 크게 형통한 것이다. 성현을 기름으로써 겸손하고 귀와 눈은 총명하다. 부드러움이 위로 나아가고 중도를 얻었으며 강함에 응하는 것이라서 매우 형통하다는 것이다. .. 2023. 9. 6.
49. 택화혁(澤火革) 택화혁(澤火革). 혁(革)은 가죽, 변혁하다, 바꾸다의 의미입니다. 택화혁괘는 상괘는 연못을 상징하는 태괘(兌卦)가 있고 하괘는 불을 상징하는 상징하는 이괘(離卦)가 있습니다. 위에는 연못이 있고 아래에는 불이 있어서로 어긋나며 변화가 생기는 형상입니다. 괘사(卦辭) 革 已日乃孚 元亨 利貞 悔亡 혁은 하루를 마치고 이에 믿는 것이다. 매우 형통하다. 이롭고 바르다. 후회가 사라진다. 단전(彖傳) 彖曰 革 水火相息 二女同居 其志不相得 曰革 已日乃孚 革而信之 文明以說 大亨以正 革而當 其悔乃亡 天地革而四時成 湯武革命 順乎天而應乎人 革之時 大矣哉 혁괘는 물과 불이 함께 생존하는 것이다. 두 여자가 같은 거처에 있으니 그 뜻은 서로 같지 않으니 혁괘이다. '하루를 마치고 이에 믿는 것이다'라는 의미는 바꾸어 믿음.. 2023. 9. 5.
48. 수풍정(水風井) 수풍정(水風井). 정(井)은 우물이라는 의미이다. 수풍정괘는 상괘는 물을 상징하는 감괘(坎卦)가 있고 하괘는 바람을 상징하는 손괘(巽卦)가 있습니다. 손괘가 상징하는 나무박이 물을 퍼올리는 모습을 형상화한다고 합니다. 괘사(卦辭) 井 改邑 不改井 无喪无得 往來井井 汔至 亦未繘井 羸其甁 凶 정은 마을을 고치나 우물을 고치는 것은 아니다. 잃는 것도 없고 얻는 것도 없다. 우물에서 오고 간다. 거의 왔는데 또 두레박줄이 없는 우물이 있다. 항아리를 엎지른다. 흉하다. 단전(彖傳) 彖曰 巽乎水而上水 井 井養而不窮也 改邑不改井 乃以剛中也 汔至亦未繘井 未有功也 羸其甁 是以凶也 손괘가 있고 물이 위에 있는 것이 정괘이다. 우물은 길러줌이 있고 다함이 없다. '마을을 고치나 우물을 고치는 것이 아니다'라는 의미는 이.. 2023. 9. 4.
47. 택수곤(澤水困) 택수곤(澤水困). 곤(困)은 곤란하다, 곤고하다는 의미입니다. 택수곤괘는 상괘에는 연못을 상징하는 태괘(兌卦)가 있고, 하괘에는 물을 상징하는 감괘(坎卦)가 있습니다. 연못 아래에 물이 있으니 연못은 마른 것으로 곤란함을 형상합니다. 괘사(卦辭) 困 亨 貞大人吉 无咎 有言不信 곤은 형통하다 대인을 바르게 하여 길하며 허물이 없다. 말이 있으면 믿지 않는다. 단전(彖傳) 彖曰 困 剛揜也 險以說 困而不失其所亨 其唯君子乎 貞大人吉 以剛中也 有言不信 尙口乃窮也 곤괘는 강함이 가려진 것이다. 험하지만 기쁘다. 곤란하지만 형통한 바를 잃지 않는다. 군자가 그러하다. '대인을 바르게 하여 길하다'는 의미는 강함으로써 중도를 얻는다는 것이다. '말이 있으면 믿지 않는다'는 의미는 입을 꾸미면 이에 끝이 없다는 것이다... 2023. 9. 3.
46. 지풍승(地風升) 지풍승(地風升). 승(升)은 오르다, 상상하다는 의미입니다. 지풍승괘는 상괘는 땅을 상징하는 곤괘(坤卦)가 있고, 하괘는 바람을 상징하는 손괘(巽卦)가 있습니다. 땅 아래에서부터 바람이 불어오는 것입니다. 바람을 통해서 만물이 상승하는 형상 또는 나무가 땅 속에서 자라나는 형상으로도 봅니다. 괘사(卦辭) 升 元亨 用見大人 勿恤 南征 吉 승은 매우 형통하다. 대인을 만나는 것으로 근심이 없다. 남방을 정벌하러 가면 길하다. 단전(彖傳) 彖曰 柔以時升 巽而順 剛中而應 是以大亨 用見大人勿恤 有慶也 南征吉 志行也 부드러움이 때를 타고 올라갔고 공손하면서도 순하다. 강한 중에 응함이 있어 크게 형통한 것이다. 대인을 만나서 근심이 없는 것은 경사가 있다는 것이다. '남방을 정벌하러 가면 길하다'는 의미는 뜻을 행.. 2023. 9. 3.
45. 택지췌(澤地萃) 택지췌(澤地萃). 췌(萃)는 모임이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택지췌괘는 상괘는 연못을 의미하는 태괘(兌卦)가 있고, 하괘는 땅을 의미하는 곤괘(坤卦)가 있습니다. 땅 위에 연못이 있는 형상이며 땅 위에 연못에 생명이 모여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괘사(卦辭) 萃 王假有廟 利見大人 亨 利貞 用大牲 吉 利有攸往 췌는 왕이 종묘를 세우며 대인을 만나는 것이 이롭다. 형통하며 이롭고 바르다. 큰 제물을 쓰는 것이 길하다. 가는 바 있으면 이롭다. 단전(彖傳) 彖曰 萃 聚也 順以說 剛中而應 故聚也 王假有廟 致孝享也 利見大人亨 聚以正也 用大牲吉 利有攸往 順天命也 觀其所聚而天地萬物之情可見矣 췌괘는 모으는 것이다. 기쁘면서 순하다. 강하면서 중도를 이루어 응하기에 모으는 것이다. '왕이 종묘를 세운다'는 의미는 효도를.. 2023. 9.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