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01. 주역(周易)

51. 중뢰진(重雷震)

by Dante. A. 2023. 9. 7.
반응형
중뢰진(重雷震). 진(震)은 우레, 위세의 의미입니다.
중뢰진괘는 우레를 상징하는 진괘(震卦)가 겹쳐 있습니다. 진괘는 장남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괘사(卦辭)

震 亨 震來虩虩 笑言啞啞 震驚百里 不喪匕鬯

진은 형통하다. 우레가 오면 두려워한다. 웃고 말함이 벙어리*처럼 된다. 우레는 백리를 놀라게 한다. 숟가락과 울창주**를 잃어버리지 않는다.

 

단전(彖傳)

彖曰 震亨 震來虩虩 恐致福也 笑言啞啞 後有則也 震驚百里 驚遠而懼邇也 出可以守宗廟社稷 以爲祭主也

진괘는 형통하다. '우레가 오면 두려워한다.'는 의미는 두려워하는 것에 복이 있다는 것이다. '웃고 말함이 벙어리처럼 된다'는 의미는 후에는 규칙이 있다는 것이다. '우레가 백리를 놀라게 한다'는 의미는 멀리있는 자를 놀라게 하고 가까이 있는 자를 두렵게 한다는 것이다. 나와서 능히 종묘사직을 지킬 수 있으니 이로써 제사 주인이 된다.

 

상전(象傳)

象曰 洊雷 震 君子以 恐懼脩省

중첩된 우레가 진괘이다. 군자는 이로써 놀라고 두려워하며 수양하고 반성한다.

 


사(爻辭) 및 상전(象傳)

初九 震來虩虩 後笑言啞啞 吉

초구는 우레가 오니 두려워한다. 나중에는 웃고 말하다가 벙어리처럼 된다. 길하다.

象曰 震來虩虩 恐致福也 笑言啞啞 後有則也

'우레가 오니 두려워졌다'는 의미는 우려움으로써 복에 이르는 것이다. '웃고 말하다가 벙어리처럼 된다'는 의미는 후에는 규칙이 있다는 것이다.

 

六二 震來厲 億喪貝 躋于九陵 勿逐七日得

육이는 우레가 오니 위태롭다. 많은 재화를 잃었다. 아홉개의 언덕에 오른다. 따라가지 않으면 칠일에 얻는다.

象曰 震來厲 乘剛也

'우레가 오니 위태롭다'는 의미는 강함에 올라탔다는 것이다.

 

六三 震蘇蘇 震行无眚

육삼은 우레가 되살아난 것이니 우레의 행함이 실수가 없다.

象曰 震蘇蘇 位不當也

'우레가 되살아난다'는 의미는 위치가 적당하지 않다는 것이다.

 

九四 震 遂泥

구사는 우레가 치고 도랑에 빠져 흙이 묻었다.

象曰 震遂泥 未光也

'우레가 치고 도랑에 빠져 흙이 묻었다'는 의미는 빛이 약한 것이다.

 

六五 震 往來厲 億无喪有事

육오는 우레가 치고 오고가는 것이 모두 위태롭다. 생각을 잃지말아야 일이 있다. 

象曰 震往來厲 危行也 其事在中 大无喪也

'우레가 치고 오고가는 것이 모두 위태롭다'는 의미는 위기에서 행한다는 것이다. 그 일이 가운데 있어서 크게 잃어버리지 않는다.

 

上六 震索索 視矍矍 征 凶 震不于其躬 于其鄰 无咎 婚媾 有言

상육은 우레가 쳐서 놀라 두리번거리며 본다. 정벌하러 가면 흉하다. 우레가 나에게 오지 않고 이웃에게 친다. 허물이 없다. 혼인하는 것은 말이 있다.

象曰 震索索 中未得也 雖凶无咎 畏鄰戒也

'우레가 친다'는 의미는 중도를 얻지 못하였다는 것이다. 비록 흉하나 허물은 없다. 이웃을 두려워하고 경계한다.

 


* 실언아아笑言啞啞는 '웃고 떠듬이 그치지 않는다'고 해석하기도 합니다. 다만, 아啞는 벙어리를 의미하며, 본 문장에서는 소리내지 않고 살그머니 웃는 형상에 어울린다고 보여집니다.

* 창鬯은 울창주를 의미한다고 합니다. 기장으로 발효시킨 것으로 고대에 제사를 지내기 전에 땅에 뿌린다는 술입니다.

 
반응형

'01. 주역(周易)' 카테고리의 다른 글

53. 풍산점(風山漸)  (0) 2023.09.09
52. 중산간(重山艮)  (0) 2023.09.08
50. 화풍정(火風鼎)  (0) 2023.09.06
49. 택화혁(澤火革)  (0) 2023.09.05
48. 수풍정(水風井)  (0) 2023.09.0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