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택풍대과(澤風大過). 대과(大過)는 크게 넘치다는 의미입니다. 택풍대과괘의 상괘는 연못을 의미하는 태괘(兌卦)가 있고, 하괘는 바람을 의미하는 손괘(巽卦)가 있습니다. 연못 아래로 바람이 세차게 불어오는 형상입니다. 혹은 손괘는 나무(木)를 상징하기 때문에 나무가 못 아래 잠겨있는 것으로 보기도 합니다. |
괘사(卦辭)
大過 棟橈 利有攸往 亨
대과는 마룻대가 휜 것이다. 갈 곳이 있다면 이롭다. 형통하다.
단전(彖傳)
彖曰 大過 大者過也 棟橈 本末弱也 剛過而中 巽而說行 利有攸往 乃亨 大過之時 大矣哉
대과괘는 큰 것이 지나친 것이다. '마룻대가 휘었다'는 의미는 근본과 말단이 약하다는 것이다. 강함이 지나치지만 중도가 있다. 겸손함과 기쁨으로 간다면 갈 곳이 있어 이롭고 이에 형통하다. 대과괘의 때는 큰 때이다.
상전(象傳)
象曰 澤滅木 大過 君子以 獨立不懼 遯世无悶
연못에 나무가 잠긴 형상이 대과괘이다. 군자는 이로써 혼자있음을 두려워하지 아니하고 세상을 피하고 있어도 근심하지 아니한다.
효사(爻辭) 및 상전(象傳)
初六 藉用白茅 无咎
초육은 자리를 까는데 흰 갈대를 쓴다. 허물이 없다.
象曰 藉用白茅 柔在下也
'자리를 까는데 흰 갈대를 쓴다'는 것은 부드러움이 아래에 있다는 것이다.
九二 枯楊生稊 老夫得其女妻 无不利
구이는 마른 버드나무에 새로운 싹이 생긴다. 늙은 남자가 여자를 부인으로 들인다. 불리함이 없다.
象曰 老夫女妻 過以相與也
'늙은 남자가 여자를 부인으로 들인다'는 의미는 지나치지만 서로 돕는다는 것이다.
九三 棟橈 凶
구삼은 마룻대가 휘었다. 흉하다.
象曰 棟橈之凶 不可以有輔也
'마룻대가 휘어 흉하다'는 의미는 도움이 없다는 것이다.
九四 棟隆 吉 有它 吝
구사는 마룻대가 위로 솟았으니 길하다. 다른 마음을 품하면 부끄럽다.
象曰 棟隆之吉 不橈乎下也
'마룻대가 위로 솟아 길하다'는 의미는 아래로 휘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九五 枯楊生華 老婦 得其士夫 无咎 无譽
구오는 마른 버드나무에 꽃이 생겼다. 늙은 부인이 남자를 남편으로 들인다. 허물은 없으나 영예도 없다.
象曰 枯楊生華 何可久也 老婦士夫 亦可醜也
'마른 버드나무에 꽃이 생겼다'는 것이니 어찌 오래가겠는가. '늙은 부인이 남자를 남편으로 들인다'는 것이니 또한 추한 것이다.
上六 過涉滅頂 凶 无咎
상육은 지나치게 건너가며 이마가 빠졌다. 흉하나 허물은 없다.
象曰 過涉之凶 不可咎也
지나치게 건너가는 흉은 허물할 수가 없는 것이다.
* 棟은 마룻대로 지붕에 있는 서까래를 받치는데 쓰이는 나무입니다. 梁은 대들보로 건물 전체를 지지하는 나무입니다.
'01. 주역(周易)' 카테고리의 다른 글
30. 중화리(重火離) (0) | 2023.08.25 |
---|---|
29. 중수감(重水坎) (0) | 2023.08.24 |
27. 산뢰이(山雷頤) (0) | 2023.08.22 |
26. 산천대축(山天大畜) (0) | 2023.08.21 |
25. 천뢰무망(天雷无妄) (0) | 2023.08.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