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x250
- 천을귀인(天乙貴人)(4) 협귀(夾貴)의 육합(六合)천을귀인을 협하는 글자에 육합을 얻는 것을 의미합니다. 가령, 임계(壬癸)인이 진(辰)을 본 상태에서 유금(酉)를 얻거나, 병정(丙丁)인이 술(戌)을 본 상태에서 묘(卯)를 얻는 경우입니다. 전후에 천을귀인이 협(夾)한 상태인데, 여기에 록마(祿馬)에 해당하는 글자까지 얻는다면, 그 사람은 대부귀(大富貴)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사견) 이는 귀인의 협(夾)에 해당하는 글자를 가질 수 있는 병정(丙丁)인(술戌이 협에 해당), 임계(壬癸)인(진辰이 협에 해당)만이 가능하며, 이러한 사람이 그에 육합 글자에 해당하는 경우까지 얻은 경우를 의미합니다. 임기용배(壬騎龍背) 가령, 임자 계묘 경술 경진 (壬子、癸卯、庚戌、庚辰)의 글자를 가진 사람은 임기용배(壬騎龍背, 임수가 진토를 .. 2025.01.26
- 천을귀인(天乙貴人)(3) 귀합귀식(貴合貴食)귀합(貴合)은 일간이 천을귀인이 있는 천간과 합을 이루는 것입니다. 가령, 갑(甲)이 기축(己丑)이나 기미(己未)를 얻는 것, 무(戊)가 계축(癸丑)이나 계미(癸未)를 얻는 것, 경(庚)이 을축(乙丑)이나 을미(乙未)를 얻는 것, 을(乙)이 경자(庚子)나 경신(庚申)을 얻는 것, 기(己)가 갑자(甲子)나 갑신(甲申)을 얻는 것, 병(丙)이 신유(辛酉)나 신해(辛亥)를 얻는 것, 정(丁)이 임인(壬寅), 임진(壬辰)을 얻는 것을 의미합니다. 귀식(貴食)은 일간의 식신에 해당하는 천간이 자신의 귀인을 얻는 것입니다. 가령, 갑(甲)이 병인(丙寅), 병진(丙辰)을 얻는 것, 을(乙)이 정유(丁酉)나 정해(丁亥)를 얻는 것, 경(庚)이 임신(壬申), 임술(壬戌)을, 신(辛)이 계묘(癸卯), 계.. 2024.12.12
- 천을귀인(天乙貴人)(2) 천을귀인(天乙貴人)의 원리갑(甲)은 양목이고, 무(戊)는 양토이고, 경(庚)은 양금으로 모두 토(土)의 자리를 기뻐하며, 천을귀인으로 축미(丑.未)를 삼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갑(甲)은 미(未)에 저장되기 때문에, 경(庚)은 축(丑)에 저장되기 때문에 각각 이를 더욱 기뻐합니다. 이 때 미토는 갑목의, 축토는 경금의 묘고(墓庫)에 해당합니다. 한편, 무(戊)의 경우에는 양토로서 중앙에 존재하며, 갑(甲)으로서 만물의 시작이 있고, 경(庚)으로서 만물의 완성을 기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무자(戊子), 무인(戊寅), 무오(戊午)의 경우에는 축(丑)을, 무진(戊辰), 무신(戊申), 무술(戊戌)의 경우에는 미(未)를 더욱 좋아한다고 합니다. 한편, 을(乙)과 기(己)는 신자(申子)를 천을귀인으로 삼는데, .. 2024.03.15
- 천을귀인(天乙貴人)(1) 천을귀인(天乙貴人)이란? 천을귀인은 명리학에 언급되는 모든 신살 중 으뜸으로 치고 있는 길신입니다. 다른 말로는 옥당귀인(玉堂貴人)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천을(天乙)은 본래 천상의 신(天上之神)으로서 태을(太乙)과 더불어 천황대제를 섬긴다고 합니다. 존귀한 곳에 있으며, 일체의 흉살(凶煞)을 피해간다고 합니다. 천을귀인은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하나는 양귀(陽貴)이고, 다른 하나는 음귀(陰貴)입니다. 십천간(十天干)의 천을귀인을 살펴본다면 각각 및 와 같습니다. 보통 양귀는 동지에서 하지까지, 음귀는 하지에서 동지까지를 주관한다고 합니다. 보통은 일간을 기준을 정하고 있으나, 각각의 천간을 기준으로 살펴보기도 합니다. 이 밖에도 주귀(晝貴)와 야귀(夜貴)의 방식으로도 나눌 수 있으나, 결과적으로 양.. 2024.03.10
- 록마(祿馬) 록마(祿馬)의 관계 록은 양명지원(養命之源, 생명을 기르는 것의 근원)으로 불리며, 마(馬)는 부신지본(扶身之本, 몸을 일으키는 근본)이며, 두 가지를 서로 보는 것은 기쁜 일입니다. 천록천마(天祿天馬) 가령, 갑(甲)인이 년지에 인오술(寅午戌)을 놓은 상태라면, 록(祿)은 인(寅)이고 역마는 신(申)이 됩니다. 이 때 둔법상으로 병(丙)을 보았다면 천록을 얻은 것이고 임(壬)을 보았다면 천마가 되는바, 일시에서 서로 바라봄이 있다면 천록천마가 됩니다. (사견) 결국, 천록이라고 함은 지지에 있는 록이 아니라 천간(天干)의 록을 의미합니다. 갑(甲)인의 경우에는 오호둔법상 병인(丙寅)이나 임신(壬申)이 짝을 이룰 수 있는 글자이기에, 갑의 천록은 병(丙)이 되고, 갑의 천마는 임(壬)이 된다고 표현한 것.. 2024.03.09
- 역마(驛馬)(4) 사전(四專) 가령, 신자진(申子辰)이 역마로 갑인(甲寅)을 만난 것입니다. 유사하게 경신(庚申), 정사(丁巳), 계해(癸亥)를 역마로 만난 것도 해당합니다. 명위(名位) 식신을 천간에 단 역마를 만난 것입니다. 가령, 갑(甲)인이 병(丙)을 달고 있는 역마를 본 것, 을(乙)인이 정(丁)을 달고 있는 역마를 본 것과 같은 류 입니다. 사생(四生) 가령, 신사(辛巳), 갑신(甲申), 기해(己亥), 병인(丙寅)이 이에 해당합니다. 납음오행의 글자가 역마에서 장생하는 경우입니다. (견해) 신사(辛巳)는 백랍금인데, 사(巳)에서 금(金, 정확하게는 庚金)이 장생합니다. 또, 갑신(甲申)은 천중수인데, 신(申)에서 수(水, 정확하게는 壬水)가 장생합니다. 마찬가지로 기해(己亥)는 평지목으로 해(亥)에서 목이 장생.. 2024.03.08
- 역마(驛馬)(3) 간지합마(干支合馬) 역마가 다른 천간과 지지의 합(천합지합天合支合)을 이루는 경우입니다. 가령, 신자진(申子辰)의 역마는 인(寅)에 있는데, 갑인(甲寅)이 기해(己亥)도 만난 경우, 또는 병인(丙寅) 역마가 신해(辛亥)를 만난 경우입니다. 관직에 올라 중책에 이른다고 합니다. 마두대검(馬頭帶劍) 역마의 천간에 경신(庚辛)글자 또는 납음으로 금(金)에 해당하는 경우입니다. 변경의 장수로 이름을 얻습니다. 마취천정(馬驟天庭) 말이 하늘의 정원을 질주한다는 의미입니다. 가령, 년간 임(壬)인이 년지 인오술(寅午戌)을 얻었고, 이 때, 둔법으로 무신(戊申)을 월에 얻는데, 이 때 무(戊)가 그 록인 사(巳)를 얻으면, 천정(天庭)에 이어진 것이고, 다시 유(酉)의 합(合)으로 연결되면, 매우 높은 위치에 오른다.. 2024.03.03
- 역마(驛馬)(2) 역마살(驛馬煞)의 풀이 ○ 역마(驛馬)는 공망(空亡), 파패(破敗), 교퇴(交退), 복신(伏神)이 있는 것이 아니면, 영귀(榮貴)하다고 봅니다. 또한, 천을귀인이 역마가 되거나 칠살 등과 함께 하는 경우에는 벼슬이 높고 크게 되며 귀한 곳에 거처한다고 합니다. ○ 시지(時)의 역마가 가장 귀하고, 일지(日)의 역마가 그 다음으로 귀하며, 월지(月)의 역마는 평범합니다. ○ 고마(庫馬) · 왕마(旺馬) · 생마(生馬) - 가령, 목국(木局)에서 역마이자 생마(生馬)는 해수(亥水)이며, 이 때 고마는 미토(未土), 왕마는 묘목(卯木)이 됩니다. - 고마는 어린 시절에 좋고, 왕마는 젊은 때에 영광이 있다고 합니다. 생마를 늦게 얻으면, 관직이 낮고 먼 지역에 봉직한다고 합니다. ○ 역마(驛馬)는 기쁨과 경사.. 2024.03.02
- 역마(驛馬)(1) 역마살(驛馬煞) 역(驛)은 옛날 각 지방마다 소식이나 공문을 전하던 역참 또는 역참의 말을 의미하고 마(馬)는 그 이동수단이지요. 역마는 변화와 변동이 따르는 성질을 의미하고, 역마살은 한 곳에 정착하지 못하고 돌아다니게 되는 살(煞)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살이라고 하여도 역마는 활동성과 개방성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기에, 예전부터 나쁘게만 보지는 않았습니다. 오히려 변화를 통해서 성장하고 성공을 한다는 의미로 쓰이기도 하였습니다. 보통은 년지의 글자로 이후의 글자를 비교하여 역마를 정하고 있는데, 에서는 와 같이 정리됩니다.(이러한 방법으로 신살을 적용할 때는 고법에 따라서 년간年干의 글자가 주체로 보기도 합니다.) 각 지지의 역마(驛馬) 지지(地支) 인(寅). 오(午). 술(戌) 해(亥). 묘(卯).. 2024.03.01
- 금여(金輿) 금여록(金輿祿)금여(金輿)는 원래 황금수레를 일컫는 말입니다. 사주에서 금여 또는 금여록이 있다면, 이러한 부귀의 기운을 갖추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원래는 귀족의 사주라는 별명이 있기도 합니다. 금여(金輿)는 항상 록(祿)에서 두번째 나아간 곳에 위치합니다. 가령, 갑자(甲子)에 태어난 사람이라면, 록은 인(寅)에 해당하고, 금여는 진(辰)에 있게 되는 것입니다. 금여는 록에 달린 깃발과 같습니다. 세가지의 재주가 따라오는데 금여를 가진 사람은 성정이 부드럽고, 외모가 원하는 바로 되며, 행동거지가 온화합니다. 부인의 경우에는 복이 넓고 부자가 아니라면 귀하게 됩니다. 남자의 경우에는 처첩이 많고 음복이 서로 돕습니다. 생일이나 생시에 있는 것이 좋고, 골육이 편안하고 현모양처를 얻으며, 자손이 무성해.. 2024.02.26
- 십간록(十干祿)(3) 록입록당(祿入祿堂) 록이 록당으로 들어간다는 의미입니다. 년간이 오호둔법에 따라 동일천간과 해당지지를 다시 얻는 경우입니다. 이 경우 다른 오행의 극함이 없어야 합니다. 가령 갑목(甲木, 이 경우 년간으로 봄)은 오호둔법상 갑술(甲戌)을 얻었을 때, 록이 록에 입당하여 성취를 얻었다고 합니다. 각 천간마다 오호둔법에 따른 간지(干支)가 있는데, 신금(辛金)의 경우에는 신묘(辛卯)와 신축(辛丑), 임수(壬水)의 경우에는 임인(壬寅)과 임자(壬子)의 2개를 가지게 됩니다. 건향근합(建向近合) 일간을 강하게 해주는 글자를 얻는 것입니다. 가령, 갑목(甲木)의 록은 인목(寅木)인데, 인(寅)을 건(建)이라 하고, 축(丑)이 향(向)이 되며, 묘(卯)가 근(近)이 되며, 해(亥)는 합(合)이 됩니다. 즉, 12운.. 2024.02.25
- 십간록(十干祿)(2) 생성록(生成祿) 같은 오행을 가진 간지를 타 주에 얻은 것입니다. 가령, 갑(甲)의 경우에는 갑인(甲寅)을 얻거나, 을(乙의 경우에는 을묘(乙卯)를 얻은 경우를 의미합니다. 명위록(名位祿) 갑(甲) 일주가 병인(丙寅)을 얻는 경우입니다. 병화(丙火)는 식신이기 때문에 록이 식신을 천간으로 갖춘 때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진록(眞祿) 갑(甲) 일주가 병화(丙火), 기토(己土)를 보거나, 을(乙)일주가 기토(己土), 오화(午火)를 보는 경우인데, 귀격으로 봅니다. 록을 갖춘 상태에서 식상과 재성을 함께 보게 되는 경우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진퇴진록(進退眞祿) 무진(戊辰)이 정사(丁巳)를 만나는 것、무오(戊午)가 정사(丁巳)를 만나는 것, 병진(丙辰)이 계사(癸巳)를 만나는 것, 병오(丙午)가 계사(.. 2024.02.24
- 십간록(十干祿)(1) 록(祿) 록은 원래 복록 그 자체를 의미하는 바, 사주의 천간(天干)은 모두 각자의 록을 가지고 있습니다. 십이운성상 건록(建祿)이기도 합니다. 각 십천간의 록은 다음 와 같습니다. 그래도 보통은 일간(日干)을 기준(고법에서는 년간을 기준으로 하기도 함)으로 관찰하고 있습니다. 십천간(十天干) 의 록(祿)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 인(寅) 묘(卯) 사(巳) 오(午) 사(巳) 오(午) 신(申) 유(酉) 해(亥) 자(子) 십천간의 록 한편, 각각의 십천간의 록마다 그 천간에 함께하는 글자가 있기 마련입니다. 가령, 갑(甲)일생이 병인(丙寅)월에 태어나는 경우에 인(寅) 위에 있는 병화(丙火)도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갑 일주가 병인.. 2024.02.17
- 신살(神煞)의 소개 고법(古法)사주와 신살 신살은 사주팔자에서 천간·지지가 이루는 특수한 관계나 작용을 의미합니다. 원래 예전의 고법(古法)사주에서는 신살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나, 송나라 이후에는 자평명리(子平命理)로 그 중심축이 이동하였지요. 이후, 월령 중심과 격국 중심의 명리학이 대세가 되었고, 신살의 경우에는 그 중요성이 감퇴되며 배척되기 시작하였습니다. 삼명통회 (三命通會)와 연해자평 (淵海子平)의 신살 하지만, 자평명리학이 발전하며 고법사주가 밀려나는 가운데에서도 신살 등을 활용한 명리풀이는 꾸준히 이어져왔던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대표적인 송대와 명대의 대표적인 명리학 저서인 와 에서도 신살 등은 여전히 폭넓게 정리되기도 하였지요. 특히, 의 경우 3권(券三)에서 전반적으로 다양한 신살을 다루고 있습니.. 2024.02.09
- 명리학의 고전들 3대 고전과 5대 명서명리학에서 많은 사람들이 교과서라고 부를만큼 널리 익히는 책들이 있습니다. 이러한 많은 책들 중에서 전통적으로 3대 고서로 꼽는다고 하면, 많은 사람들은 우선 , , 을 꼽을 것입니다. 보통 이 세가지를 명리학의 3대 고전으로 치고 있지요. 한편, 여기에 2가지의 책, 그러니까 과 을 추가하여 명리학을 대표하는 5대 명서라고 보기도 합니다. 그리고 위 2가지의 책 대신에 를 넣기도 하고요. 그래서 명리학의 명서들은 보통 위 6가지를 최우선으로 삼고 있습니다. 위 책의 순서는 대략 (남송) 연해자평 → (원,명) 적천수 → (명) 삼명통회, 명리정종 → (청) 궁통보감, 자평진전의 순서로 볼 수 있습니다. 자평진전 (子平眞詮)청(淸)나라 중기의 심효첨은 이라는 책을 지었습니다. 이후에.. 2024.02.08
- 사주(四柱)와 MBTI MBTI vs 사주(四柱)최근에 실험 다큐먼터리 프로그램으로 MBTI와 사주를 비교하는 프로그램이 있었지요. 사람을 이해하는 도구로서 MBTI와 사주를 활용하면서, 어느 것이 사람을 이해하는 데 더 잘 맞을지를 실험하는 내용이었습니다. 물론, MBTI는 내가 스스로를 평가한다는 점에서 주관적인 도구인 반면에 사주는 이미 여덟글자가 타고 날 때부터 정해져 있다는 절대적인 도구라고 볼 수 있고, MBTI가 후천적인 성격 측정의 도구라면, 사주는 선천적인 성격 이외에도 운명 자체도 엿볼 수 있는 도구라는 점에서 차이는 꽤 크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프로그램의 실험을 통해 사람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한 시도도 흥미로울 뿐 아니라 이미 보편화된 MBTI랑 비교할 때 사주에 관해서 많은 사람들이 더욱 친근하게 다가.. 2024.02.04
- 손문(쑨원) 사주 손문(? ~ 1925. 3. 12.)은 긴 시간 동안 황제의 통치 하에 있던 중국에서 최초의 공화국을 세운 사람입니다. 민족주의, 민권주의, 민생주의의 삼민주의를 주창한 것으로도 유명하지요. 손문의 생일은 공식적으로는 1866. 11. 12.로 표기(병인년 기해월 신묘일)되어 있는데요. 실제 생일은 다르다는 의견이 많고, 대략 1866. 11. 22.이라는 견해(병인년 기해월 신축일)와 1865. 11. 23.이라는 견해(을축년 정해월 정해일)가 있습니다. 물론, 세가지 말고 다른 날자가 실제 생일일 가능성도 있지만, 그의 생애를 지켜보았을 때, 3가지 중 하나를 고르라고 한다면, 1865. 11. 23.(을축년 정해월 정해일)이 적합하지 않을까 합니다. 그는 소작농의 자식으로 하나로 빈곤한 유년기를 보.. 2024.02.04
- 원세개(위안스카이) 사주 원세개(1859. 9. 16. ~ 1916. 6. 6.)는 청나라 말기에 무장이면서 군벌입니다. 다른 것보다도 그는 청나라를 무너뜨린 장본인으로 알려져 있고, 근대 중국 속에서 격동의 인생을 살아간 사람입니다. 중국식 발음인 위안스카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지요. 원세개의 사주는 1859. 9. 16. 미시에 출생하였다고 전해집니다. 한편, 이전의 푸이의 사주에서도 느낀 것이지만, 원세개의 사주 역시도 상당히 조열한 편입니다. 일간 정화(丁火)는 미토(未土)와 사화(巳火)와 같이 강력한 뿌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월주인 계유(癸酉)를 년주, 일주, 시주의 화토 세력이 전체적으로 포위하고 있는 형국입니다. 이를 맹파명리에서는 적신포신(賊神捕神)의 구조라고 부르는데, 사주 그릇이 큰 인물로 평가받게 됩니다... 2024.01.07
- 야자시(夜子時)와 조자시(朝子時) 자시(子時) 원래 자시(子時)는 오후 11시부터 익일 오전 1시까지입니다(23:00~익일 01:00). 그런데 보통 24시를 기준으로 하루가 구별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자시는 전일과 후일에 모두 걸쳐 있습니다. 그래서 자시의 경우에 이를 전일의 자시 또는 익일의 자시로 구별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란이 생겼습니다. 야자시(夜子時)와 조자시(朝子時) 더욱이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127ºE에 있음에도 135ºE를 기준으로 시간을 정하고 있지요. 그래서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30분을 더하여 계산하고 있습니다. 즉, 우리나라의 자시(子時)는 오후 11시 30분부터 익일 오후 1시 30분까지가 해당합니다. 결과적으로 야자시(夜子時)를 인정한다면, 우리나라의 야자시(夜子時)는 오후 11시 30분부터 익일 0시까지, 조자시.. 2023.09.17
- 64. 화수미제(火水未濟) 화수미제(火水未濟). 미제(未濟)는 해결이 되지 아니하였다는 것이다. 화수미제괘는 상괘에는 불을 상징하는 이괘(離卦)가 있고 하괘에는 물을 상징하는 감괘(坎卦)가 있습니다. 불이 물 위에 놓여져 있어서 아직 서로 감응하지 않은 상태 또는 해결이 되지 않은 상태를 형상합니다. 괘사(卦辭) 未濟 亨 小狐汔濟 濡其尾 无攸利 미제는 형통하다. 어린 여우가 용감히 물을 건너간다. 그 꼬리를 적신다. 이롭지 않다. 단전(彖傳) 彖曰 未濟亨 柔得中也 小狐汔濟 未出中也 濡其尾无攸利 不續終也 雖不當位 剛柔應也 미제괘의 형통함은 유함이 중도를 얻어서이다. '어린 여우가 용감히 물을 건너간다'는 의미는 나가지 못한 중이라는 것이다. '그 꼬리를 적신다. 이롭지 않다'는 의미는 계속 마치지 못한 상태라는 것이다. 비록 위치는.. 2023.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