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점술의 소개(하락이수, 매화역수, 기문둔갑)
하락이수(河洛理數) 년, 월, 일, 시로 추려진 간지(干支)를 하도수와 낙서수에 연관시켜 괘(卦)를 뽑은 다음 효사와 괘사를 추리면서, 한 사람의 인생 전반부(선천괘)와 후반부(후천괘)를 추단하는 것 입니다. 역시 송대의 진희이가 이전의 학문을 기초로 하여 창시하였다고 전해집니다. 하락이수는 양력으로 년, 월, 일, 시로 뽑아낸 간지에서 출발합니다. 그러나 본질적으로는 주역(周易)을 기초로 하고 있으며, 상수학의 한 분야를 차지합니다. 하지만, 괘의 효사 및 괘사를 통해 인생의 길흉(吉凶)에 대해서 비교적 뚜렷하게 서술하고 있으며, 이 점에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하는 사주, 자미두수와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또한, 사용하는 것은 64괘, 384효이나, 납갑, 원기 등 다양한 분석을 통해서 길흉을 추단하고 ..
2021. 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