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풍뢰익(風雷益). 익(益)은 더하다 추가하다는 의미입니다. 풍뢰익괘는 상괘는 바람을 상징하는 손괘(巽卦)가 있고, 하괘는 우레를 상징하는 진괘(震卦)가 있습니다. 바람이 우레 위에서 불어오는 것으로 바람이 우레를 한 층 더 강하게 돋아주는 형상입니다. |
괘사(卦辭)
益 利有攸往 利涉大川
익은 이롭고 가는 바 있는 것이다. 큰 내를 건너면 이롭다.
단전(彖傳)
彖曰 益 損上益下 民說无彊 自上下下 其道大光 利有攸往 中正有慶 利涉大川 木道乃行 益 動而巽 日進无彊 天施地生 其益无方 凡益之道 與時偕行
익괘는 위를 덜어내어 아래에 더하는 것이다. 백성은 기뻐함이 끝이 없다. 윗사람이 스스로 아랫사람에게 낮추니 이로우며 가는 바 있는 것이고 중도를 지킴에 바르고 경사가 있다. '큰 내를 건너면 이롭다'는 의미는 목도가 행하여진 것이다.* 익괘는 바람이 움직이고 날마다 끝없이 나아간다. 하늘은 땅에게 생명을 베풀며 그 더함이 사방을 가리지 아니한다. 무릇 덧붙이는 도는 함께 때에 맞추어 행하는 것이다.
상전(象傳)
象曰 風雷 益 君子以 見善則遷 有過則改
바람이 우레에 더하는 것이다. 군자는 이로써 선을 보면 즉시 실천하고 과오가 있으면 즉시 고쳤다.
효사(爻辭) 및 상전(象傳)
初九 利用爲大作 元吉 无咎
초구는 큰 일을 하는 것이 이롭다. 매우 길하며 허물이 없다.
象曰 元吉无咎 下不厚事也
매우 길하며 허물이 없는 까닭은 아랫사람은 큰 일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
六二 或益之 十朋之 龜弗克違 永貞 吉 王用享于帝 吉
육인는 혹 더하는 것인데 열 명의 친구가 있다. 거북점을 쳐도 이길 수가 없어 어길 수 없으니 오래도록 바르며 길하다. 왕이 천제에게 제사를 지내는 것이 길하다.
象曰 或益之 自外來也
'혹 더하는 것이다'라는 의미는 알아서 밖에서 오는 것이 있다는 것이다.
六三 益之用凶事 无咎 有孚中行 告公用圭
육삼은 더하는 것이 흉사이나 허물은 없다. 믿음을 가지고 중도를 행하면 왕에게 고하고 상서로운 구슬을 쓴다.**
象曰 益用凶事 固有之也
'더하는 것이 흉사이나 허물이 없다'는 의미는 굳게 그것을 지킨다는 것이다.
六四 中行 告公從 利用爲依遷國
육사는 중도를 행한다. 공에게 순종할 것을 고한다. 의지하면서 나라를 천도하면 이롭다.
象曰 告公從 以益志也
'공에게 순종할 것을 고한다'는 의미는 뜻을 더함이 있다는 것이다.
九五 有孚惠心 勿問 元吉 有孚 惠我德
구오는 믿음을 가지고 마음을 은혜롭게 한다. 묻지 않으면 크게 길하다. 믿음이 있으면 나의 덕을 은혜롭게 여긴다.
象曰 有孚惠心 勿問之矣 惠我德 大得志也
'믿음을 가지고 마음을 은혜롭게 한다'는 의미는 묻지 말라는 것이다. '나의 덕을 은혜롭게 한다'는 의미는 크게 뜻을 얻는다는 것이다.
上九 莫益之 或擊之 立心勿恒 凶
상구는 더해주는 것이 없다. 오히려 공격하는 것은 있다. 마음을 세우되 계속 하지 말라. 흉할 것이다.
象曰 莫益之 偏辭也 或擊之 自外來也
'더해주는 것이 없다'는 의미는 편중되었다는 것이다. '오히려 공격하는 것이 있다'는 의미는 스스로 바깥에서 오는 것이 있다는 것이다.
* 목도木道의 의미에 관하여서 이는 익도益道을 잘못 썼다고 해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바람을 상징하는 손괘(巽卦)는 오행으로 목(木)을 상징합니다. 따라서 손괘의 도가 행해졌다고 볼 여지가 있습니다.
** 규圭는 왕이나 왕후 등이 품계 등을 표시하기 위하여 지닌 구슬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01. 주역(周易)' 카테고리의 다른 글
44. 천풍구(天風姤) (0) | 2023.09.02 |
---|---|
43. 택천쾌(澤天夬) (0) | 2023.09.02 |
41. 산택손(山澤損) (0) | 2023.09.01 |
40. 뇌수해(雷水解) (0) | 2023.08.31 |
39. 수산건(水山蹇) (0) | 2023.08.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