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천지비(天地否). 비(否)는 아니다 또는 막히다는 의미입니다. 천지비괘는 상괘는 하늘을 의미하는 건괘(乾卦)가 있고, 하괘는 땅을 의미하는 곤괘(坤卦)가 있습니다. 이는 하늘과 땅이 각각의 위치에서 머물러 있어서 막혀 있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
괘사(卦辭)
否 之匪人 不利君子貞 大往小來
비는 인간의 도리가 아니다. 군자는 바르게 하더라도 불리하다. 많이 가고 조금 돌아온다.
단전(彖傳)
彖曰 否之匪人不利君子貞大往小來 則是天地不交 而萬物不通也 上下不交 而天下无邦也 內陰而外陽 內柔而外剛 內小人而外君子 小人道長 君子道消也
비괘는 '인간의 도리가 아니다. 군자는 바르게 하더라도 불리하다. 많이 가고 조금 돌아온다'는 의미는 천지가 서로 교류하지 않고 이로써 만물이 통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상하의 교류가 없고 하늘 아래에 나라가 없다. 안에는 음효가 바깥에는 양효가 있어 안은 부드럽고 바깥은 강하니 안에는 소인이 바깥에는 군자가 있어 소인의 도는 자라나고 군자의 도는 사라진다.
상전(象傳)
象曰 天地不交否 君子以 儉德辟難 不可榮以祿
천지가 서로 교류하지 않으니 비괘이다. 군자는 이로써 덕을 검사하여 어려움을 피하고 녹봉으로 영화를 누리려 하지 않는다.
효사(爻辭) 및 상전(象傳)
初六 拔茅茹 以其彙 貞吉亨
초육은 띠풀을 뽑는데 그 덩어리가 같이 뽑힌다. 바르고 길하며 형통하다.
象曰 拔茅貞吉 志在君也
'띠풀을 뽑는데 길하다'는 의미는 군자에게 뜻이 있다는 것이다.
六二 包承 小人吉 大人否亨
육이는 포용하며 이어받는 것이니 소인은 길하고 대인은 막혀있으나 형통하다.
象曰 大人否亨 不亂群也
' 대인은 막혀있으나 형통하다'는 것은 소인의 무리가 어지럽히지는 않았다는 것이다.
六三 包羞
육삼은 품고 있는 것이 부끄럽다는 것이다.
象曰 包羞 位不當也
'품고 있는 것이 부끄럽다'는 의미는 위치가 적당하지 않다는 것이다.
九四 有命无咎 疇離祉
구사는 명에 따르면 허물이 없다. 함께 복을 받는 것이다.
象曰 有命无咎志行也
'명에 따르면 허물이 없다'는 의미는 뜻을 행한다는 것이다.
九五 休否 大人吉 其亡其亡 繫于苞桑
구오는 막힌 것을 그치게 하니 대인은 길하다. 망한다 망한다 하니 뽕나무 꽃잎에 묶어논다.
象曰 大人之吉 位正當也
대인의 길함은 바른 위치에 합당하기 때문이다.
上九 傾否 先否後喜
상구는 정체가 기울어져가니, 먼저는 막혀도 후에는 기쁘다.
象曰 否終則傾 何可長也
막힘이 마치는 것이 기운다는 것이니, 어찌 오래 가겠는가
'01. 주역(周易)'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 화천대유(火天大有) (0) | 2023.08.13 |
---|---|
13. 천화동인(天火同人) (0) | 2023.08.12 |
11. 지천태(地天泰) (0) | 2023.08.11 |
10. 천택리(天澤履) (0) | 2023.08.05 |
9. 풍천소축(風天小畜) (0) | 2023.08.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