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01. 주역(周易)

2. 중지곤(重地坤)

by Dante. A. 2023. 8. 5.
반응형
중지곤(重地坤). 곤괘(坤卦)가 겹쳐서 있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곤은 땅(地)을 의미하며, 여섯효가 모두 음효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땅이 아래에 있는 모습을 형상화하고 있습니다. 중지곤에서는 다른 괘들과는 다르게 하나의 효가 더 있으며, 이를 용육(用六)이라고 부릅니다.

괘사(卦辭)

坤, 元亨利牝馬之貞 君子有攸往 先迷後得 主利 西南得朋 東北喪朋 安貞 吉

곤, 근원이면서 형통하고 이로우며 암말의 바름이다. 군자는 나아갈 바 있다. 먼저 가면 미혹할 것이나, 뒤로 가면 얻음이 있어 이로움을 주관한다. 서남쪽에서 친구를 얻고, 동북쪽에서 친구를 잃으니 바름을 안정시키면 길하다.

 

단전(彖傳)

彖曰 至哉 坤元 萬物資生 乃順承天 坤厚載物 德合无疆 含弘光大 品物咸亨 牝馬地類 行地无疆 柔順利貞 君子攸行 先迷失道 後順得常 西南得朋 乃與類行 東北喪朋 乃終有慶 安貞之吉 應地无疆

지극하도다, 곤원이여. 만물이 이로서 태어나니 곧 유순하게 하늘의 뜻을 잇는다. 곤은 두터우면서도 만물을 실으니 덕이 합치됨에 그침이 없다. 포용력이 넓고 빛이 크며, 만물이 형통함亨을 이룬다. 암말은 땅에서 나온 종류로 땅을 행함이 그침이 없으니 부드럽고 순종적임이 이롭고 바르며利貞, 군자가 나아갈 바다. 먼저가면 미혹하여 길을 잃으나, 뒤로 가면 얻음이 있는 게 도를 얻음이 있다. 서남쪽에서 친구를 얻음은 같은 부류와 함께 행한다는 것이고, 동북쪽에서 친구를 잃는다는 것은 끝에는 경사가 있다는 의미다. 바름을 안정시키면 길하다는 것은 땅의 끝없음에 응한다는 것이다.

 

상전(象傳)

象曰 地勢坤 君子以 厚德載物

땅의 세력은 곤괘이니 군자는 이에 두터운 덕으로 만물을 싣는다.

 


사(爻辭) 및 상전(象傳)

初六 履霜 堅氷至

초육은 서리를 밟으면 단단한 얼음이 이른다.

象曰 履霜堅氷 陰始凝也 馴致其道 至堅氷也

상전에서는 말하길, 서리를 밟으면 단단한 얼음이 이른다는 의미는 음이 처음으로 응결한 것이며, 이러한 도를 따라가면 단단한 얼음에 이른다는 것이다.

 

六二 直方大 不習 无不利

육이는 곧고 반듯하며 크다. 익히지 않아도 이롭지 않음이 없다.

象曰 六二之動 直以方也 不習无不利 地道光也

상전에서 말하길, '육이는 곧고 반듯하며 크다. 익히지 않아도 이롭지 않음이 없다'는 의미는 땅의 도가 빛난다는 것이다.

 

六三 含章可貞 或從王事 无成有終

육삼은 아름다움을 머금고 올바를 수 있다. 혹, 왕의 일에 종사하더라도 이룸은 없어도 마침이 있다.

象曰 含章可貞 以時發也 或從王事 知光大也

상전에서 말하길, 아름다움을 머금고 올바를 수 있다는 의미는 때에 따라서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이며, 혹, 왕의 일에 종사한다는 것은 지혜가 크게 빛난다는 것이다.

 

六四 括囊无咎无譽

육사는 주머니를 묶으면, 허물도 없고 명예도 없다.

象曰括囊无咎 愼不害也

상전에서 말하길, '주머니를 묶으면, 허물도 없고 명예도 없다.'는 의미는 신중하면 해로움이 없다는 것이다.

 

六五 黃裳元吉

육오는 누른 치마가 크게 길하다.

象曰 黃裳元吉 文在中也

상전에서 말하길, 누른 치마가 크게 길하다는 의미는 학문이 가운데에 있기 때문이다.

 

上六 龍戰于野 其血玄黃

상육은 용이 광야에서 싸워서 그 피가 검고 누렇다.

象曰 龍戰于野 其道窮也

상전에서 말하길, 용이 광야에서 싸운다는 의미는 그 도가 끝에 다다랐다는 것이다.

 

用六利永貞

용육은 이로우면서 영원히 바르다.

象曰 用六永貞 以大終也

상전에서 말하길, 이로우면서 영원히 바르다는 의미는 큰 것으로 변하며 마친다는 것이다.

 

 

 

'01. 주역(周易)' 카테고리의 다른 글

4. 산수몽(山水蒙)  (0) 2023.08.05
3. 수뢰둔(水雷屯)  (0) 2023.08.05
1. 중천건(重天乾)  (0) 2023.08.05
주역 64괘(六十四卦)의 순서와 명칭  (0) 2023.08.05
주역의 양효, 음효, 8괘, 64괘 등 용어  (0) 2023.08.0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