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01. 주역(周易)

4. 산수몽(山水蒙)

by Dante. A. 2023. 8. 5.
반응형
산수몽(山水蒙). 몽(蒙)은 아직 어린 상태 또는 몽매하다는 것입니다.
산수몽괘의 상괘는 산을 의미하는 간괘(艮卦)가 있고 하괘는 물을 상징하는 감괘(坎卦)가 있습니다. 이는 위험이 있어서 잠시 멈춰서있는 형상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괘사(卦辭)

蒙 亨 匪我求童蒙 童蒙求我 初筮告 再三瀆 瀆則不告 利貞

몽은 형통하다. 내가 어린아이의 어리석음을 찾는 것이 아니라 어린아이의 어리석음이 나를 찾는다는 것이다. 처음 점을 물으면 알려주고, 두세번 물으면 무시하니, 무시한다는 것은 알려주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로우면서도 바르다.

 

단전(彖傳)

彖曰 蒙 山下有險 險而止 蒙 蒙亨 以亨行 時中也 匪我求童蒙 童蒙求我 志應也

初筮告 以剛中也 再三瀆 瀆則不告 瀆蒙也 蒙以養正 聖功也

몽괘는 산 아래 위험이 있고 위험이 있어 그치고 있는 것이니 어린아이다. '몽은 형통하다'는 의미는 형통함을 행하여 때 맞추어 중도에 이른다는 것이다. '내가 어린아이의 어리석음을 찾는 것이 아니라 어린아이의 어리석음이 나를 찾는다'는 의미는 뜻에 응한다는 것이다. 처음 점을 물으면 알려주는 것은 강함으로써 중도에 이른다는 것이고, 두세번 물으면 무시한다는 것은 어린아이를 무시한다는 것이다. 어린아이는 양육하여 바르게 되고 성인이되어 공을 이룰 수 있다.

 

상전(象傳)

象曰 山下出泉 蒙 君子以 果行育德

산아래 샘물이 나오는 것이 몽괘이니, 군자는 이것을 본받아 과감하게 행동하고 덕을 기른다.


사(爻辭) 및 상전(象傳)

初六 發蒙 利用刑人 用說桎梏 以往 吝

초육은 어리석음을 깨우치기에는 사람을 벌주는 방법을 쓰는 것이 이롭다. 질곡*을 쓰는 것으로 간다면 부끄럽다.

象曰 利用刑人 以正法也

사람을 벌주는 방법을 쓰는 것이 이롭다는 의미는 바른 법을 사용하여 행한다는 것이다.

 

九二 包蒙 吉 納婦 吉 子克家

구이는 어리석음을 포용하면 길하고 부인을 받아들이면 길하니, 자식이 가정을 다스리게 된다. 

象曰 子克家 剛柔接也

'자식이 가정을 다스리게 된다'는 의미는 강함과 부드러움이 접하였다는 것이다.

 

六三 勿用取女 見金夫 不有躬 无攸利

육삼은 여자를 취해 쓰려고 하지 말고, 돈많은 자를 보고 몸을 가늠하지 못하니 이로움이 없다.

象曰 勿用取女 行不順也

'여자를 취해 쓰려고 하지 말라'는 의미는 행함에 순함이 없다는 것이다.

 

六四 困蒙 吝

육사는 어리석음에 쌓여있으니 부끄럽다.

象曰 困蒙之吝 獨遠實也

'어리석음에 쌓여있으니 부끄럽다;는 의미는 홀로 실속과 멀리 떨어져 있다는 것이다. **

 

六五 童蒙 吉

육오는 어린아이의 어리석음은 길하다.

象曰 童蒙之吉 順以巽也

어린아이의 어리석음이 길한 이유는 순함과 순종함에 있기 때문이다.

 

上九 擊蒙 不利爲寇 利禦寇

상구는 어리석음을 치는 것인데, 도적이 되는 것은 이롭지 않고 도적을 막는 것이 이롭다.

象曰 利用禦寇 上下順也

'도적을 막는 것이 이롭다'는 의미는 위아래가 서로 순하다는 것이다.


*질곡은 차꼬와 수갑, 즉 속박을 의미한다.

**이는 육사의 위치와도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육사는 음효(陰爻)로 자신의 짝인 초육도 음효이고, 자신의 위 아래의 효 역시 모두 음효이기 때문에 어리석음에 쌓여있다고 본 것으로 해석된다.

 

반응형

'01. 주역(周易)'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천수송(天水訟)  (0) 2023.08.05
5. 수천수(水天需)  (0) 2023.08.05
3. 수뢰둔(水雷屯)  (0) 2023.08.05
2. 중지곤(重地坤)  (0) 2023.08.05
1. 중천건(重天乾)  (0) 2023.08.0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