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효(陽爻)와 음효(陰爻)
주역을 구성하는 것은 음과 양입니다. 이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이 바로 양효와 음효입니다. 즉, 긴 획으로 양을 상징하는 양효(陽爻, ―)를 표현하였고, 중간에 끊긴 획으로 음을 상징하는 음효(陰爻, --)를 표현한 것입니다.
8괘(八卦)
8괘(八卦)는 중국의 복희가 지었다고 알려진 여덟 가지의 괘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8괘는 3개의 효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각각의 효는 양효(―)와 음효(--)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렇게 이루어진 3개의 효를 겹치면 자연 세계의 기본 요소인 여덟 가지의 상(相)을 나타낼 수 있다고 합니다.
그리하여 복희가 지은 선천팔괘를 지어냈습니다. 그리고 그 순서를 건(乾)-태(兌)-리(離)-진(震)-손(巽)-감(坎)-간(艮)-곤(坤)으로 정하였습니다. 한편, 이후에 주나라의 문왕 역시 8괘를 이용하여 후천팔괘를 지어냈습니다. 다만, 이 때 8괘의 순서는 다소 바뀌었는데요. 리-곤-태-건-감-간-진-손의 순서로 배열하였습니다.
건(乾) ☰ | 1 | 하늘, 아버지 |
태(兌) ☱ | 2 | 연못, 소녀 |
리(離) ☲ | 3 | 불, 중녀 |
진(震) ☳ | 4 | 번개, 장남 |
손(巽) ☴ | 5 | 바람, 장녀 |
감(坎) ☵ | 6 | 물, 중남 |
간(艮) ☶ | 7 | 산, 소남 |
곤(坤) ☷ | 8 | 땅, 어머니 |
64괘(六十四卦)를 이루는 6개의 효
복희는 양陽을 상징하는 효와 음陰을 상징하는 효를 겹쳐 8괘를 정립하였습니다. 이후에 한 걸음 더 나아가서 8괘를 위아래로 겹쳐 64괘를 만들어 내었습니다. 여기서 주문왕(周文王)이 64괘의 설명인 괘사(卦辭)를, 그의 아들 주공(周公)이 각 괘의 효에 대한 설명인 효사(爻辭)를 붙였다고 전해오고 있습니다.
이러한 64괘의 한 괘는 각각 6개의 효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들 중 양효(陽爻, ―)는 숫자 9를 의미한다고 하여 구(九)를 붙이고, 음효(陰爻, --)는 숫자 6을 의미한다고 하여 육(六)을 앞에 붙입니다. 그리고, 효의 아래에서부터 초효가 되며 육효까지 올라갑니다. 이에 대한 명칭과 관련하여 중천건괘와 중지곤괘로 아래와 같이 예를 들 수 있겠습니다.
![]() |
양효는 상구(上九) 양효는 구오(九五) 양효는 구사(九四) 양효는 구삼(九三) 양효는 구이(九二) 양효는 초구(初九) |
위에 있는 팔괘를 상괘 또는 외괘라고 칭함 아래에 있는 팔괘를 하괘 또는 내괘라고 칭함 |
![]() |
음효는 상육(上六) 음효는 육오(六五) 음효는 육사(六四) 음효는 육삼(六三) 음효는 육이(六二) 음효는 초육(初六) |
위에 있는 팔괘를 상괘 또는 외괘라고 칭함 아래에 있는 팔괘를 하괘 또는 내괘라고 칭함 |
효(爻)의 의미
주역에 자주 등장하는 다음의 문구들이 있습니다. 이들은 각각 다음과 같이 해석됩니다. 다만, 이에 대해서는 명확한 의미라기 보다는 해석의 영역에 있는 것이므로 이견이 있습니다.
길(吉) | 길하다. 표면적으로 성공·성취·승진·합격 등을 의미합니다. |
흉(凶) | 흉하다. 표면적인 실패·낙방 등을 의미합니다. |
회(悔) | 뉘우친다. 후회할 일이 생기고 내부적으로 실망이 남음을 의미합니다. 흉(凶)만큼 나쁘지는 않습니다. |
린(吝) | 인색하다. 부끄러운 일이 생기게 됩니다. 흉(凶)만큼 나쁘지는 않습니다. |
려(厲) | 괴롭다. 어려운 일이나 괴로운 일이 생깁니다. 흉(凶)과 비슷하게 나쁘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정(貞) | 바르다. 자신의 원칙이나 소신에 맞게 나아가는 모습입니다. |
형(亨) | 형통하다. 세상의 이치나 흐름에 맞게 진행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
리(利) | 이익이 있다. 실질적이거나 물질적인 이익이 존재합니다. |
무구(無咎) | 허물이 없다. 표면적으로는 나쁘지도 좋지도 않습니다. |
'01. 주역(周易)'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수뢰둔(水雷屯) (0) | 2023.08.05 |
---|---|
2. 중지곤(重地坤) (0) | 2023.08.05 |
1. 중천건(重天乾) (0) | 2023.08.05 |
주역 64괘(六十四卦)의 순서와 명칭 (0) | 2023.08.05 |
주역(周易)이란 무엇인가? (0) | 2023.08.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