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03. 삼명통회(三命通會)

갑일 정묘시(甲日 丁卯時)

by Dante. A. 2020. 4. 26.
반응형

갑일 정묘시(甲日 丁卯時)

정화(丁火)는 상관이며, 묘목(卯木)은 양인이 당면해있다.

월지에 이를 억제하는 기운이 있어야 좋으며, 없다면 좋게 흐르기는 어렵다.

만약 신금(辛金)이 투간되어 있다면 상관견관의 격국이 되어 흉화가 있게 된다.

그러나 칠살이 있어(申金)서 양인을 합거하고, 재관과 인수를 갖추게 된다면 대귀하게 된다.

 

1. 갑자일 정묘시(甲子日 丁卯時)

인색한 사람이고, 하는 일은 진퇴가 생긴다.

처자에게 형벌이나 상해가 생길 수 있고 또는 타향에서 죽을 수 있다.

진술축미(辰戌未)월생은 귀하다.

묘(卯)월생은 흉하나, 관살의 제어가 있으면 길하다.

 

(견해) 묘월생은 양인격이 되어 관살의 제어가 시급하다. 특히 신금(申金) 또는 유금(酉金)의 제어를 요한다.

 

2. 갑인일 정묘시(甲寅日 丁卯時)

연월에도 목(甲乙寅卯)과 화(丙丁巳午)로 구성되어 있으면 통명지상이라 하여 귀하다.

축미(未)월생은 귀하다.

을해(乙亥)월생은 문장으로 관직에 올라 3품에 이르고 간지에 금수가 완전하면 관인상생이라 귀함이 드러난다.

 

(견해) 목화로 구성된 통명지상의 격국은 총명하고 밝은 목화통명의 기세를 의미한다.

다만, 목화통명의 기상은 수기운이 있어야 그 결실이 있다고 본다.

 

3. 갑진일 정묘시(甲辰日 丁卯時)

재물과 비단이 눈앞에 가득하며, 먹을 게 가득차고 현처와 효자를 둘 것인 좋은 운명이다.

봄(寅卯)월에 태어나면 태왕한데 관성의 제어가 없으면 가난하고 빈천하며 질병이 많다.

축유(酉)월생은 귀하다.

 

4. 갑오일 정묘시(甲午日 丁卯時)

갑목(甲木)이 절지에 앉아 있는 것이므로, 흉하다고 본다.

만약, 가을 겨울달에 태어났으면 명이 짧은 편이다.

봄,여름생은 귀하다. 특히 갑오(甲午)월생은 대귀한데,

운이 동북방(東北方)으로 흐를 떄이다.

 

5. 갑신일 정묘시(甲申日 丁卯時)

주로 무관직이 어울리며 풍헌직위에서 권력과 귀함을 누린다.

유(酉)월생은 화목(火木)운에서 중귀하게 된다.

인오(寅午)월생은 대귀하다.

 

6. 갑술일 정묘시(甲戌日 丁卯時)

해(亥)월생이면, 학문에 재주가 있어 귀함이 드러난다.

양인(여기서는 甲의 양인은 乙 또는 卯)을 또 보면 나쁘나, 만약 관성이 제하면 길하다.

신약한 자는 흉이 없는데, 만약 연월에 살성이 있거나 가을(申酉)월생은 요절할 수 있다.

 

*본 내용은 삼명통회를 바탕으로 이를 알기쉽게 풀이한 것입니다. 역학의 기본적인 내용을 숙지하고 있어야 이해하기 쉽습니다.

한편, 삼명통회는 많은 역학이론 중에 하나에 불과하니, 맹신하지 말기를 권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