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일 병인시(甲日 丙寅時)
갑목(甲木)이 인목(寅木)의 록지에 앉아있는 것이다.
이를 일록거시, 일간의 록이 시에 앉았다고 한다. 따라서 일간은 건왕하다.
시상의 병화(丙火)는 식신이며, 수명성인데 장생지에 앉아 있다.
만약, 월간이나 년간에 임수(壬水)나 계수(癸水)를 보지 않는다면
병화는 극을 당하지 않으므로 목화통명이 되고, 여기에 월령까지 통한다면 귀하게 된다.
한편, 지지에 신금(申金)을 본다면, 인목과 상충하므로 록이 파괴되어 불리하다.
(견해) 기본적으로 록을 보는 경우에 이는 별개의 격국으로 보고 있다.
특히 갑일 병인시와 같이 일간의 록을 시지에 본 것을 귀록(歸祿)이라고 한다.
1. 갑자일 병인시(甲子日 丙寅時)
갑목(甲木) 일간이 인목(寅木)을 본 것으로 일록거시라 하며, 젊어서 벼슬길에 오른다.
연월에 경신금(庚辛金)이 없으면, 귀하며, 목화(木火)로 통할 경우에 매우 귀한 것이다.
오(午)월생은 동북방운(東北方運)으로 흐르면, 5,6품으로 귀해진다.
신(申)월생은 귀록봉살이라 하는데, 큰 권력을 잡고 귀해지나, 수국(申子辰)을 얻게되면 평범해진다.
만약 연월이 일시와 동일(甲子,丙寅)하면, 매우 귀하다.
2. 갑인일 병인시(甲寅日 丙寅時)
연월에 사유신축(巳酉辛丑)의 글자가 없으면,귀록격이 되고, 1,2품의 직위가 가능하다.
다른 곳에 순수하게 목,화, 토 기운으로만 구성되면 부귀를 겸하고, 육경의 지위에 오른다.
병자(丙子)월, 해미묘(亥未卯)월생은 4,5품의 귀기가 흐르는데, 서남방운(西南方運)으로 흐를 때 가장 길하다.
유축(酉丑)월생도 귀하며, 연간이나 월간에 경신(庚辛)금이 있어도 같다.
3. 갑진일 병인시(甲辰日 丙寅時)
용호공문, 또는 용음호구라 하여, 귀하다.
또는 일생 귀함이 가까이 있고 재원은 득실이 있으나, 명리는 이룰 것이다.
미인(未寅)월생은 관직에서 6경에 오른다.
술(戌)월생은 풍헌이 되고, 유(酉)월생은 3품이다.
자해축(子亥丑)월생은 4,5품이고, 서방운(西方運)으로 흐를 때, 대귀하다.
묘,사(卯巳)연월생은 보통이다.
4. 갑오일 병인시(甲午日 丙寅時)
갑목(甲木)이 절지에 있는 것이라 평범하다.
겨울(亥子)월생이면, 갑목이 양분을 얻는 셈이라 길하다.
여름(巳午)월생이면, 명이 짧은 편이며, 천간에 비겁이 있어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5. 갑신일 병인시(甲申日 丙寅時)
일시가 서로 충(寅申沖)이기에, 처자에게 해를 입힌다.
만약, 연월일이 동일(甲申)하면, 대귀하게 된다.
사해(巳亥)월은 2,3품이 된다.
진자(辰子)가 연월에 있으면, 물을 만나서 칠살을 설기할 수 있으므로 길하다.
미(未)월은 재고가 되어 또한 길하다.
6. 갑술일 병인시(甲戌日 丙寅時)
연월에 토(戊己辰戌丑未)가 있으면, 부유하다.
만약 금(庚辛申酉)이 있으면 도리어 반대가 된다.
만약 금이 있다면, 반드시 해자(亥子)월이거나 수국 방향이 귀해지며, 그 외에는 불리하다.
*본 내용은 삼명통회를 바탕으로 이를 알기쉽게 풀이한 것입니다. 역학의 기본적인 내용을 숙지하고 있어야 이해하기 쉽습니다.
한편, 삼명통회는 많은 역학이론 중에 하나에 불과하니, 맹신하지 말기를 권합니다.
'03. 삼명통회(三命通會)'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갑일 무진시(甲日 戊辰時) (1) | 2020.05.03 |
---|---|
갑일 정묘시(甲日 丁卯時) (0) | 2020.04.26 |
갑일 을축시(甲日 乙丑時) (0) | 2020.04.26 |
갑일 갑자시(甲日 甲子時) (0) | 2020.04.26 |
삼명통회(三命通會)란 무엇일까? (0) | 2020.01.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