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00x250

삼명통회3권8

천을귀인(天乙貴人)(2) 천을귀인(天乙貴人)의 원리갑(甲)은 양목이고, 무(戊)는 양토이고, 경(庚)은 양금으로 모두 토(土)의 자리를 기뻐하며, 천을귀인으로 축미(丑.未)를 삼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갑(甲)은 미(未)에 저장되기 때문에, 경(庚)은 축(丑)에 저장되기 때문에 각각 이를 더욱 기뻐합니다. 이 때 미토는 갑목의, 축토는 경금의 묘고(墓庫)에 해당합니다. 한편, 무(戊)의 경우에는 양토로서 중앙에 존재하며, 갑(甲)으로서 만물의 시작이 있고, 경(庚)으로서 만물의 완성을 기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무자(戊子), 무인(戊寅), 무오(戊午)의 경우에는 축(丑)을, 무진(戊辰), 무신(戊申), 무술(戊戌)의 경우에는 미(未)를 더욱 좋아한다고 합니다. 한편, 을(乙)과 기(己)는 신자(申子)를 천을귀인으로 삼는데, .. 2024. 3. 15.
록마(祿馬) 록마(祿馬)의 관계 록은 양명지원(養命之源, 생명을 기르는 것의 근원)으로 불리며, 마(馬)는 부신지본(扶身之本, 몸을 일으키는 근본)이며, 두 가지를 서로 보는 것은 기쁜 일입니다. 천록천마(天祿天馬) 가령, 갑(甲)인이 년지에 인오술(寅午戌)을 놓은 상태라면, 록(祿)은 인(寅)이고 역마는 신(申)이 됩니다. 이 때 둔법상으로 병(丙)을 보았다면 천록을 얻은 것이고 임(壬)을 보았다면 천마가 되는바, 일시에서 서로 바라봄이 있다면 천록천마가 됩니다. (사견) 결국, 천록이라고 함은 지지에 있는 록이 아니라 천간(天干)의 록을 의미합니다. 갑(甲)인의 경우에는 오호둔법상 병인(丙寅)이나 임신(壬申)이 짝을 이룰 수 있는 글자이기에, 갑의 천록은 병(丙)이 되고, 갑의 천마는 임(壬)이 된다고 표현한 것.. 2024. 3. 9.
역마(驛馬)(4) 사전(四專) 가령, 신자진(申子辰)이 역마로 갑인(甲寅)을 만난 것입니다. 유사하게 경신(庚申), 정사(丁巳), 계해(癸亥)를 역마로 만난 것도 해당합니다. 명위(名位) 식신을 천간에 단 역마를 만난 것입니다. 가령, 갑(甲)인이 병(丙)을 달고 있는 역마를 본 것, 을(乙)인이 정(丁)을 달고 있는 역마를 본 것과 같은 류 입니다. 사생(四生) 가령, 신사(辛巳), 갑신(甲申), 기해(己亥), 병인(丙寅)이 이에 해당합니다. 납음오행의 글자가 역마에서 장생하는 경우입니다. (견해) 신사(辛巳)는 백랍금인데, 사(巳)에서 금(金, 정확하게는 庚金)이 장생합니다. 또, 갑신(甲申)은 천중수인데, 신(申)에서 수(水, 정확하게는 壬水)가 장생합니다. 마찬가지로 기해(己亥)는 평지목으로 해(亥)에서 목이 장생.. 2024. 3. 8.
역마(驛馬)(3) 간지합마(干支合馬) 역마가 다른 천간과 지지의 합(천합지합天合支合)을 이루는 경우입니다. 가령, 신자진(申子辰)의 역마는 인(寅)에 있는데, 갑인(甲寅)이 기해(己亥)도 만난 경우, 또는 병인(丙寅) 역마가 신해(辛亥)를 만난 경우입니다. 관직에 올라 중책에 이른다고 합니다. 마두대검(馬頭帶劍) 역마의 천간에 경신(庚辛)글자 또는 납음으로 금(金)에 해당하는 경우입니다. 변경의 장수로 이름을 얻습니다. 마취천정(馬驟天庭) 말이 하늘의 정원을 질주한다는 의미입니다. 가령, 년간 임(壬)인이 년지 인오술(寅午戌)을 얻었고, 이 때, 둔법으로 무신(戊申)을 월에 얻는데, 이 때 무(戊)가 그 록인 사(巳)를 얻으면, 천정(天庭)에 이어진 것이고, 다시 유(酉)의 합(合)으로 연결되면, 매우 높은 위치에 오른다.. 2024. 3. 3.
역마(驛馬)(1) 역마살(驛馬煞) 역(驛)은 옛날 각 지방마다 소식이나 공문을 전하던 역참 또는 역참의 말을 의미하고 마(馬)는 그 이동수단이지요. 역마는 변화와 변동이 따르는 성질을 의미하고, 역마살은 한 곳에 정착하지 못하고 돌아다니게 되는 살(煞)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살이라고 하여도 역마는 활동성과 개방성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기에, 예전부터 나쁘게만 보지는 않았습니다. 오히려 변화를 통해서 성장하고 성공을 한다는 의미로 쓰이기도 하였습니다. 보통은 년지의 글자로 이후의 글자를 비교하여 역마를 정하고 있는데, 에서는 와 같이 정리됩니다.(이러한 방법으로 신살을 적용할 때는 고법에 따라서 년간年干의 글자가 주체로 보기도 합니다.) 각 지지의 역마(驛馬) 지지(地支) 인(寅). 오(午). 술(戌) 해(亥). 묘(卯).. 2024. 3. 1.
금여(金輿) 금여록(金輿祿)금여(金輿)는 원래 황금수레를 일컫는 말입니다. 사주에서 금여 또는 금여록이 있다면, 이러한 부귀의 기운을 갖추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원래는 귀족의 사주라는 별명이 있기도 합니다. 금여(金輿)는 항상 록(祿)에서 두번째 나아간 곳에 위치합니다. 가령, 갑자(甲子)에 태어난 사람이라면, 록은 인(寅)에 해당하고, 금여는 진(辰)에 있게 되는 것입니다. 금여는 록에 달린 깃발과 같습니다. 세가지의 재주가 따라오는데 금여를 가진 사람은 성정이 부드럽고, 외모가 원하는 바로 되며, 행동거지가 온화합니다. 부인의 경우에는 복이 넓고 부자가 아니라면 귀하게 됩니다. 남자의 경우에는 처첩이 많고 음복이 서로 돕습니다. 생일이나 생시에 있는 것이 좋고, 골육이 편안하고 현모양처를 얻으며, 자손이 무성해.. 2024. 2. 26.
십간록(十干祿)(3) 록입록당(祿入祿堂) 록이 록당으로 들어간다는 의미입니다. 년간이 오호둔법에 따라 동일천간과 해당지지를 다시 얻는 경우입니다. 이 경우 다른 오행의 극함이 없어야 합니다. 가령 갑목(甲木, 이 경우 년간으로 봄)은 오호둔법상 갑술(甲戌)을 얻었을 때, 록이 록에 입당하여 성취를 얻었다고 합니다. 각 천간마다 오호둔법에 따른 간지(干支)가 있는데, 신금(辛金)의 경우에는 신묘(辛卯)와 신축(辛丑), 임수(壬水)의 경우에는 임인(壬寅)과 임자(壬子)의 2개를 가지게 됩니다. 건향근합(建向近合) 일간을 강하게 해주는 글자를 얻는 것입니다. 가령, 갑목(甲木)의 록은 인목(寅木)인데, 인(寅)을 건(建)이라 하고, 축(丑)이 향(向)이 되며, 묘(卯)가 근(近)이 되며, 해(亥)는 합(合)이 됩니다. 즉, 12운.. 2024. 2. 25.
신살(神煞)의 소개 고법(古法)사주와 신살 신살은 사주팔자에서 천간·지지가 이루는 특수한 관계나 작용을 의미합니다. 원래 예전의 고법(古法)사주에서는 신살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나, 송나라 이후에는 자평명리(子平命理)로 그 중심축이 이동하였지요. 이후, 월령 중심과 격국 중심의 명리학이 대세가 되었고, 신살의 경우에는 그 중요성이 감퇴되며 배척되기 시작하였습니다. 삼명통회 (三命通會)와 연해자평 (淵海子平)의 신살 하지만, 자평명리학이 발전하며 고법사주가 밀려나는 가운데에서도 신살 등을 활용한 명리풀이는 꾸준히 이어져왔던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대표적인 송대와 명대의 대표적인 명리학 저서인 와 에서도 신살 등은 여전히 폭넓게 정리되기도 하였지요. 특히, 의 경우 3권(券三)에서 전반적으로 다양한 신살을 다루고 있습니.. 2024. 2.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