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을귀인(天乙貴人)(3)
귀합귀식(貴合貴食)귀합(貴合)은 일간이 천을귀인이 있는 천간과 합을 이루는 것입니다. 가령, 갑(甲)이 기축(己丑)이나 기미(己未)를 얻는 것, 무(戊)가 계축(癸丑)이나 계미(癸未)를 얻는 것, 경(庚)이 을축(乙丑)이나 을미(乙未)를 얻는 것, 을(乙)이 경자(庚子)나 경신(庚申)을 얻는 것, 기(己)가 갑자(甲子)나 갑신(甲申)을 얻는 것, 병(丙)이 신유(辛酉)나 신해(辛亥)를 얻는 것, 정(丁)이 임인(壬寅), 임진(壬辰)을 얻는 것을 의미합니다. 귀식(貴食)은 일간의 식신에 해당하는 천간이 자신의 귀인을 얻는 것입니다. 가령, 갑(甲)이 병인(丙寅), 병진(丙辰)을 얻는 것, 을(乙)이 정유(丁酉)나 정해(丁亥)를 얻는 것, 경(庚)이 임신(壬申), 임술(壬戌)을, 신(辛)이 계묘(癸卯), 계..
2024. 12. 12.
천을귀인(天乙貴人)(2)
천을귀인(天乙貴人)의 원리갑(甲)은 양목이고, 무(戊)는 양토이고, 경(庚)은 양금으로 모두 토(土)의 자리를 기뻐하며, 천을귀인으로 축미(丑.未)를 삼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갑(甲)은 미(未)에 저장되기 때문에, 경(庚)은 축(丑)에 저장되기 때문에 각각 이를 더욱 기뻐합니다. 이 때 미토는 갑목의, 축토는 경금의 묘고(墓庫)에 해당합니다. 한편, 무(戊)의 경우에는 양토로서 중앙에 존재하며, 갑(甲)으로서 만물의 시작이 있고, 경(庚)으로서 만물의 완성을 기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무자(戊子), 무인(戊寅), 무오(戊午)의 경우에는 축(丑)을, 무진(戊辰), 무신(戊申), 무술(戊戌)의 경우에는 미(未)를 더욱 좋아한다고 합니다. 한편, 을(乙)과 기(己)는 신자(申子)를 천을귀인으로 삼는데, ..
2024. 3.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