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00x250

삼명통회 3권6

천을귀인(天乙貴人)(4) 협귀(夾貴)의 육합(六合)천을귀인을 협하는 글자에 육합을 얻는 것을 의미합니다. 가령, 임계(壬癸)인이 진(辰)을 본 상태에서 유금(酉)를 얻거나, 병정(丙丁)인이 술(戌)을 본 상태에서 묘(卯)를 얻는 경우입니다. 전후에 천을귀인이 협(夾)한 상태인데, 여기에 록마(祿馬)에 해당하는 글자까지 얻는다면, 그 사람은 대부귀(大富貴)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사견) 이는 귀인의 협(夾)에 해당하는 글자를 가질 수 있는 병정(丙丁)인(술戌이 협에 해당), 임계(壬癸)인(진辰이 협에 해당)만이 가능하며, 이러한 사람이 그에 육합 글자에 해당하는 경우까지 얻은 경우를 의미합니다. 임기용배(壬騎龍背) 가령, 임자 계묘 경술 경진 (壬子、癸卯、庚戌、庚辰)의 글자를 가진 사람은 임기용배(壬騎龍背, 임수가 진토를 .. 2025. 1. 26.
천을귀인(天乙貴人)(3) 귀합귀식(貴合貴食)귀합(貴合)은 일간이 천을귀인이 있는 천간과 합을 이루는 것입니다. 가령, 갑(甲)이 기축(己丑)이나 기미(己未)를 얻는 것, 무(戊)가 계축(癸丑)이나 계미(癸未)를 얻는 것, 경(庚)이 을축(乙丑)이나 을미(乙未)를 얻는 것, 을(乙)이 경자(庚子)나 경신(庚申)을 얻는 것, 기(己)가 갑자(甲子)나 갑신(甲申)을 얻는 것, 병(丙)이 신유(辛酉)나 신해(辛亥)를 얻는 것, 정(丁)이 임인(壬寅), 임진(壬辰)을 얻는 것을 의미합니다. 귀식(貴食)은 일간의 식신에 해당하는 천간이 자신의 귀인을 얻는 것입니다. 가령, 갑(甲)이 병인(丙寅), 병진(丙辰)을 얻는 것, 을(乙)이 정유(丁酉)나 정해(丁亥)를 얻는 것, 경(庚)이 임신(壬申), 임술(壬戌)을, 신(辛)이 계묘(癸卯), 계.. 2024. 12. 12.
천을귀인(天乙貴人)(1) 천을귀인(天乙貴人)이란? 천을귀인은 명리학에 언급되는 모든 신살 중 으뜸으로 치고 있는 길신입니다. 다른 말로는 옥당귀인(玉堂貴人)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천을(天乙)은 본래 천상의 신(天上之神)으로서 태을(太乙)과 더불어 천황대제를 섬긴다고 합니다. 존귀한 곳에 있으며, 일체의 흉살(凶煞)을 피해간다고 합니다. 천을귀인은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하나는 양귀(陽貴)이고, 다른 하나는 음귀(陰貴)입니다. 십천간(十天干)의 천을귀인을 살펴본다면 각각 및 와 같습니다. 보통 양귀는 동지에서 하지까지, 음귀는 하지에서 동지까지를 주관한다고 합니다. 보통은 일간을 기준을 정하고 있으나, 각각의 천간을 기준으로 살펴보기도 합니다. 이 밖에도 주귀(晝貴)와 야귀(夜貴)의 방식으로도 나눌 수 있으나, 결과적으로 양.. 2024. 3. 10.
역마(驛馬)(2) 역마살(驛馬煞)의 풀이 ○ 역마(驛馬)는 공망(空亡), 파패(破敗), 교퇴(交退), 복신(伏神)이 있는 것이 아니면, 영귀(榮貴)하다고 봅니다. 또한, 천을귀인이 역마가 되거나 칠살 등과 함께 하는 경우에는 벼슬이 높고 크게 되며 귀한 곳에 거처한다고 합니다. ○ 시지(時)의 역마가 가장 귀하고, 일지(日)의 역마가 그 다음으로 귀하며, 월지(月)의 역마는 평범합니다. ○ 고마(庫馬) · 왕마(旺馬) · 생마(生馬) - 가령, 목국(木局)에서 역마이자 생마(生馬)는 해수(亥水)이며, 이 때 고마는 미토(未土), 왕마는 묘목(卯木)이 됩니다. - 고마는 어린 시절에 좋고, 왕마는 젊은 때에 영광이 있다고 합니다. 생마를 늦게 얻으면, 관직이 낮고 먼 지역에 봉직한다고 합니다. ○ 역마(驛馬)는 기쁨과 경사.. 2024. 3. 2.
십간록(十干祿)(2) 생성록(生成祿) 같은 오행을 가진 간지를 타 주에 얻은 것입니다. 가령, 갑(甲)의 경우에는 갑인(甲寅)을 얻거나, 을(乙의 경우에는 을묘(乙卯)를 얻은 경우를 의미합니다. 명위록(名位祿) 갑(甲) 일주가 병인(丙寅)을 얻는 경우입니다. 병화(丙火)는 식신이기 때문에 록이 식신을 천간으로 갖춘 때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진록(眞祿) 갑(甲) 일주가 병화(丙火), 기토(己土)를 보거나, 을(乙)일주가 기토(己土), 오화(午火)를 보는 경우인데, 귀격으로 봅니다. 록을 갖춘 상태에서 식상과 재성을 함께 보게 되는 경우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진퇴진록(進退眞祿) 무진(戊辰)이 정사(丁巳)를 만나는 것、무오(戊午)가 정사(丁巳)를 만나는 것, 병진(丙辰)이 계사(癸巳)를 만나는 것, 병오(丙午)가 계사(.. 2024. 2. 24.
십간록(十干祿)(1) 록(祿) 록은 원래 복록 그 자체를 의미하는 바, 사주의 천간(天干)은 모두 각자의 록을 가지고 있습니다. 십이운성상 건록(建祿)이기도 합니다. 각 십천간의 록은 다음 와 같습니다. 그래도 보통은 일간(日干)을 기준(고법에서는 년간을 기준으로 하기도 함)으로 관찰하고 있습니다. 십천간(十天干) 의 록(祿)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 인(寅) 묘(卯) 사(巳) 오(午) 사(巳) 오(午) 신(申) 유(酉) 해(亥) 자(子) 십천간의 록 한편, 각각의 십천간의 록마다 그 천간에 함께하는 글자가 있기 마련입니다. 가령, 갑(甲)일생이 병인(丙寅)월에 태어나는 경우에 인(寅) 위에 있는 병화(丙火)도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갑 일주가 병인.. 2024. 2. 17.